1980년 이후 방송광고 대행 시장을 독점해온 한국방송광고공사(KOBACOㆍ코바코)가 격변을 맞고 있다. 정부가 내년부터 순차적으로 코바코와 경쟁할 민영 미디어렙(Media Representativeㆍ방송광고 판매대행사)을 허용하는 절차를 밟겠다고 공표하면서 방송업계에 돌풍이 몰아치고 있다. 21일 기획재정부ㆍ문화체육관광부ㆍ코바코 등에 따르면 정부는 22일 공기업 선진화 3차 방안 발표를 통해 민영 미디어렙을 내년 말까지 신설하고 방송광고 시장을 경쟁 체제로 바꾼다. 코바코 해체 뒤 최소 1개 이상의 민영 미디어렙을 만들어 방송광고 판매를 대행케 하면서 지역ㆍ종교방송 등 광고 취약 매체에 대해서는 자구 노력과 연계해 지원책을 마련하겠다는 것이 골자다. 미디어렙 시장을 '제한적 경쟁(1공영 1개 이상 민영) 체제'로 개편할 것인가 '완전 경쟁(다민영) 체제'로 갈 것인가는 아직 부처간 이견으로 확정되지 않았다. ◇지역ㆍ종교방송 '보호' 어려워=코바코는 언론통폐합 이후 광고주인 대기업과 방송사의 완충 역할과 광고영업이 힘든 지역민영방송과 종교방송에도 기업의 광고를 분배하는 역할을 해왔다. 하지만 제2, 제3의 코바코가 될 민영 미디어렙이 만들어지면 이들 방송사의 광고영업은 코바코의 '보호'를 더 이상 받을 수 없게 돼 위기에 처하게 된다. 시청자 입장에선 다양한 방송을 볼 수 있는 기회가 줄어든다. 또 방송사들이 프로그램마다 고가의 광고를 유치하기 위해 시청률 전쟁에 몰입하면서 안방극장이 상업성과 선정성에 물들 가능성이 높다. 결과적으로 공적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의 입지는 급격히 축소될 것이란 예상도 나온다. 방통위는 민영 미디어렙의 설립으로 피해를 입는 지역 및 종교 방송에 대한 보완책을 마련한다는 단서조항을 붙이고 있다. 하지만 지역민방들은 일단 미디어렙이 시장에서 작동하기 시작하면 미디어렙 간 경쟁 구도로 소형방송사 보다 3개 메이저 지상파 방송사로 광고 편중이 더욱 심해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정부의 지원책들도 사실 재원구조가 열악한 지역방송들에겐 현실적이지 못하다는 지적도 높다. 코바코는 "전국 37개 지상파 매체 중 KBS, MBC, SBS를 제외한 나머지는 전부 광고취약 매체로 여기엔 신생 OBS, MBC 지방방송국들도 포함된다"며 "미디어레이 허용되면 이들 방송사의 경영 악화와 지방커뮤니티와 문화 다양성이 쇠락하는 결과를 초래한다"고 지적했다. ◇일간지 광고수익 2년내 60% 줄어=미디어렙의 여파는 방송에만 그치지 않고 일간지를 포함한 인쇄매체 시장에도 커다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문화부 보고서에 따르면 "방송광고 대행 시장이 완전경쟁화되면 전체 일간지의 광고수익이 2년 내에 60.1% 줄어들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한국지역방송협회와 여러 종교방송사들은 12일과 16일 잇달아 성명을 내고 민영 미디어렙 도입에 반발하고 나섰다. CBSㆍ불교방송ㆍ평화방송ㆍ원음방송ㆍ극동방송은 "정부는 방송 장악을 위해 방송광고 시장을 시장논리에 내맡기려 한다"며 "기획재정부 장관의 퇴진은 물론 정권퇴진 운동도 불사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지역방송협회도 "광고 재원을 취약매체에 배분하는 기존의 방식은 문화다원성 실현을 위해 필요한 것"이라며 "미디어렙은 광고시장 독과점 현상을 오히려 심화시킬 것"이라고 주장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