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광주 3선 의원인 김동철 의원의 경우 4·29 재·보궐 선거 참패에 따른 ‘호남 배려’ 기류에 고무된 분위기다. 당내 일각에서 성난 호남 민심을 수습하기 위해 호남 출신인 김 의원이 원내 사령탑에 올라야 내년 총선을 기약할 수 있다는 기류가 형성되면서 호남 지역구가 강점으로 꼽힌다. 그러나 그는 지난 전당대회를 앞두고 문재인 당 대표 후보를 향해 “(대통령) 선거 패배 책임이 있는 만큼 정계 은퇴까지는 아니더라도 최소한 2선으로 후퇴하는 것이 정치적, 도의적 자세”라고 직격탄을 날리는 등 당내 최대 계파인 친노와 대립각을 세운 점이 약점으로 꼽힌다.
네번째 원내대표 도전에 나선 이종걸 의원은 숱한 도전을 빌미로 의원들과의 관계 강화에 나서면서 쌓아 놓은 친분을 강점으로 꼽을 수 있다. 또 과거 장자연 사건을 두고 소송에서 승소하는 등 야당 의원으로서의 선명성도 강점으로 분류된다. 특히 그는 이른바 비주류계 의원들로부터 전폭적인 지지를 받아 1차 경선에서는 무난히 통과할 것으로 보이지만 결선 투표에서 친노계 지원이 미지수로 남아 있다.
설훈 의원은 조정식·최재성 의원과 함께 범친노계로 분류되는 의원으로, 당내 중량감 있는 인사가 원내대표에 올라야 한다는 분위기를 타고 있다. 평소 자신의 소신을 굽히지 않는 의정 스타일을 보여주면서 의원들 사이에서 강경하다는 선명한 이미지를 쌓은 점도 강점이다. 하지만 그가 말실수로 인해 곤욕을 치렀던 점이 원내대표 불가론의 배경으로 자리잡고 있다. 따라서 당내에서는 설 의원이 범친노계 3명의 후보중 유일하게 결선에 오르면 차기 사령탑에 오를 수 있지만 1차 투표에서 어느 정도 계파 지원을 얻느냐가 관건이다.
조정식 의원은 범친노계 후보 중 가장 앞서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하지만 동시에 재·보궐 선거 패배에 따른 반친노 기류가 발목을 잡고 있다. 선거 초반 다크호스로 부상한 만큼 비친노계 인사의 집중적인 견제를 어떻게 헤쳐나가느냐가 관전 포인트다. 조 후보는 이 같은 분위기를 의식한 듯 최근 “공정한 리더십을 통한 통합”을 내걸었다.
최재성 의원 역시 정세균계와 범친노계로, 전두환 추징법 등 굵직한 법안 통과를 이끌어 지략과 뚝심을 두루 갖췄다는 평을 받는다. 특히 기재위 활동을 통한 경제 공부를 통해 문 대표의 ‘유능한 경제정당론’과 궁합이 잘 맞을 것이라는 평가도 나온다. 더욱이 정세균계과 친노계 지원을 받는 다면 무난히 원내 사령탑에 오를 수 있다는 전망도 제기되고 있다. 하지만 그는 5명의 후보중 가장 나이가 어려 20대 총선을 지휘하기에는 아직 이르다는 반대 평가도 만만치 않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