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etSectionName(); [글로벌 포커스] 亞 신흥국 휩쓰는 인플레 쓰나미… 빈곤층 위협 인도 채소값 41%·베트남 쌀값 6% 상승등 물가 급등구매력 상실로 중산층 상당수 하층계급 전락 가속화금리 인상등 대책 불구 경제 불안… 실효성 불투명 김희원기자 heewk@sed.co.kr 캄보디아 프놈펜시에 위치한 쓰레기 집하장에서 어린이들이 재활용품 수집에 열중하고 있다. 인플레이션으로 신흥국들의 경제 사정이 더욱 열악해지자 공부를 포기한 채 돈을 벌러 나서는 어린이들이 늘고 있다. 프놈펜=블룸버그통신 ImageView('','GisaImgNum_1','default','260'); ImageView('','GisaImgNum_2','default','260'); ImageView('','GisaImgNum_3','default','260');
전 세계를 뒤흔들었던 경제위기가 정점을 지나 잦아들면서 선진국들의 경제 여건이 점차 개선되고 있는 반면 다수 신흥국들은 물가상승 후폭풍으로 고전하고 있다. 이들은 위기 국면에서 경제 한파에 따른 직접적인 영향은 덜 입었지만 물가가 빠르게 치솟으며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특히 이 같은 인플레이션은 아시아 신흥국 전반에서 가열되며 빈곤층의 살림살이를 위협하고 있다. 신흥국 인플레는 경제 위기 이전에도 조금씩 진행됐지만, 이번 위기로 전 세계 경제시스템에 균열이 생기면서 더욱 심화되고 있다. 금융 시스템 마비에 대한 피해를 동유럽 등 외채가 많은 신흥국들이 가장 크게 입었던 것처럼 위기 이래 가열된 경제 취약화에 대한 피해도 빈곤계층이 상당한 아시아를 비롯한 신흥국들이 먼저 지는 양상이다. 인도, 베트남, 파키스탄, 방글라데시 등 아시아 신흥국들의 정책 중심은 이미 성장 지지에서 인플레와의 투쟁으로 바뀌고 있다. 아시아 국가들이 부양정책에서 먼저 탈출, 금리 인상을 준비하고 있는 까닭도 경제 여건의 개선에 따른 출구전략이라기 보다는 인플레와의 투쟁으로 봐야 적절한 경우가 상당하다. 최근 인도 의회는 야권의 정부 비판이 가열되며 하루 정회사태를 겪었다. 야권은 "물가저지 노력이 비효율적"이라며 정부를 공격했다. 의회 재무위는 역대 최고치로 치솟는 설탕 값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식품이 소비자들에게 직접 공급될 수 있도록 유통체계를 개선할 것을 요구했다. 인도의 12월5일 기준 식품물가지수는 전년 같은 시점에 비해 19.95% 올랐고 연료 및 전기 비용은 3.95% 상승하는 등 인도 물가는 11년 만에 최대 속도로 치솟고 있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지난 5일 기준 감자가격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배 이상 뛰었고 채소 가격은 41.09% 상승했다. 콩 가격은 40.1%, 밀 가격은 13.9% 올랐다. 인도의 전체 물가상승률도 내년 3월까지 8%에 달할 것으로 추산되며 정부 목표치인 6.5%를 크게 웃돌 전망이다. 올해 재선에 성공한 맘모한 싱 인도 총리는 빈곤 퇴치를 최대 공약으로 내걸었지만 치솟는 물가가 빈곤층을 강타하며 크게 고전하고 있다. 인도에서는 전 인구의 65%가 넘는 8억 명의 인구가 하루 2달러 이하의 비용으로 살아가고 있다. 인도의 빈곤 문제는 인도의 글로벌 위상을 옥죄는 요인이다. 인도의 3ㆍ4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7.9%로 양호한 편이다. 특히 풍부한 지방 내수시장을 기반으로 성장해 온 인도는 금융위기 초반까지만 해도 별다른 경제 타격을 입지 않은 채 글로벌 시장에서 제 목소리 내기에 적극 나섰다. 그러나 기상이변까지 동반한 식품 인플레에 발목이 잡히며 중국과는 달리 이번 위기 국면을 통해 위상강화를 실현시키는 데 그리 성공하지 못했다. 성장 억제에 나설 때 인플레는 줄어들겠지만 이 역시 정부를 곤혹스럽게 만들긴 마찬가지다. 인플레로 지역 경제 성장이 억제된 상태여서 성급히 출구전략을 실시할 경우 GDP의 70%를 지방에서 얻고 있는 인도 경제가 안정세를 유지할 수 있을지 답보할 수 없기 때문이다. 베트남의 경제 상황도 심각하다. 베트남 물가는 쌀 값 인상에 힘입어 8개월 기준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다. 지난 10월 2.99%에 불과했던 소비자물가지수(CPIㆍ전년 동월 기준)는 11월에 4.35%를 기록한 데 이어 12월에는 6.25%로 급등했다. 전월과 비교한 12월 물가는 또 1.38%나 상승했다. 베트남은 내수가 살아나고 있지만 물가상승세가 워낙 가팔라 회복의 발목을 잡고 있다. 세계 5위 쌀 소비국인 베트남의 평균 식품가격은 11월에 3.5%(전년 동월기준), 12월에는 5.8% 올랐다. 건축자재 물가는 11월에는 8.4%, 12월에는 12.6% 상승했다. 베트남은 지난달 말 아시아 신흥국 중 최초로 기준 금리를 8%로 1%포인트 올리며 인플레 방어에 나섰다. 하지만 무디스는 "인플레 가열 가능성이 여전하며, 이는 베트남 경제의 불안정성을 보여주고 있다"고 평했다. 노무라증권도 최근 베트남의 물가상승률이 내년 3분기에 12.6%에 달할 수 있다고 경고한 바 있다. 베트남은 이 같은 인플레로 인해 개혁개방 경제마저 후퇴할 수 있다는 전망을 받고 있다. 게다가 베트남에서는 외국인 투자가 줄어들며 주요 아시아국가 중 유일하게 통화 약세가 촉발되고 있어 인플레 압력을 가중시키고 있다. 노무라는 이를 기반으로, 베트남의 기준금리가 내년 4ㆍ4분기에 11%까지 오를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이밖에 지난 10월에 0.4%에 불과했던 태국의 물가상승률도 11월 1.9%, 12월 3.6%로 급등하며 인플레 우려를 높여주고 있다. 파키스탄의 물가상승률은 이미 10.51%에 달하고 있고, 스리랑카 역시 물가상승세가 6개월 기준 최고치로 뛰어오른 상태다. 이 같은 인플레 우려는 특히 최빈국에서 더욱 크게 번지고 있다. 방글라데시 현지언론인 파이낸셜익스프레스는 인플레가 가속화되며 전체 1억5,000만 인구 중 40%가 빈곤에 허덕이고 있다고 보도했다. 2004년 5.6%였던 물가상승률은 2006년엔 7%까지 뛰었고, 2007년 12월에는 11.59%까지 상승했다. 신문은 "인플레가 급증하며 최근 몇 년 동안 더 많은 사람들을 빈곤의 덫으로 몰아넣었다. 이는 가난 근절을 향한 노력을 무력화시키고 있다"고 지적했다. 국가 싱크탱크 그룹이 내놓은 자료에 따르면 방글라데시 빈곤층은 2008년 기준으로 2년 반 동안 40%에서 48.5%로 증가했다. 인플레이션으로 구매력이 상실되면서 중산층 상당수가 하층계급으로 복귀했다. 신문은 "인플레 대응이 정부 정책 중 최우선이 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인플레와 더불어 위기 이래 가열되고 있는 보호무역주의, 중국 등의 중산층 확대, 기후변화 등도 신흥국 인플레의 원인으로 손꼽힌다. 제프리 삭스 미국 콜롬비아대학 얼스연구소 이코노미스트는 지난해 4월 인도의 식량폭동으로 4명이 사망한 사건을 언급하며 "이는 세계적인 현상"이라며 "현재 진행중인 높은 인플레는 공급 측면이 억제되며 나타난 결과"라고 진단했다. 세계 최대 쌀 수출국인 베트남과 태국은 자체 인플레 문제가 불거지자 자국 보호를 위해 각각 쌀 수출을 동결한 바 있다. 중국 등은 또한 장기 쌀공급 계약을 추진하고 있어 후진국들의 먹거리에 더욱 위협을 줄 가능성이 높다. 미국 등 밀 수출 국가의 수출량도 자체 소비 증가 및 생산 둔화 등의 요인으로 줄고 있다는 평가다. [글로벌 포커스] 기획·연재기사 전체보기 [병헌-前여친-병규 진실게임 전체기사] 배후? 증거사진? 철저히 농락? 잠자리까지… 혼자 웃는 김대리~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