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상표 청와대 홍보수석은 이날 일본 문예춘추의 이 같은 보도에 대해 “대응할 가치도 없는 완벽한 소설이다”라고 즉각 반박했다.
김희정 청와대 대변인도 이날 정례브리핑을 통해 “지난 6월에 캐나다 토론토에서 한미정상회담 있었으나 단독이 아니고 확대 정상회담이었다”면서 “이 대통령과 오바마 대통령이 따로 한 자리가 없었기 때문에 기사의 배경 자체가 오보”라고 밝혔다. 아울러 김 대변인은 “현재로서는 대응할 가치 자체를 느끼지 않지만, 정정보도 요청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그렇게 할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민주당은 이 문제에 대해 “대통령이 직접 국민에게 해명해야 한다”며 공세를 취했다.
국회 외교통상통일위 민주당 간사인 김동철 의원은 이날 고위정책회의에서 “대한민국 대통령이 했다고는 상상할 수 없는 충격적 제안이자 핵폭탄급 발언”이라며 “밀실에서 전작권 환수를 연기한 연장선상에서 나온 발언으로, 중대 국가안위 사안을 대통령이 마음대로 할 수 있다는 무소불위의 독선을 드러낸 것”이라고 비판한 뒤 사실관계 규명을 촉구했다.
또한 박지원 원내대표는 “이는 아시아 평화의 중대한 문제로, 기사에 따르면 청와대 관계자가 ‘립서비스였다’고 한 것으로 돼 있는데 대통령 발언을 희화화시키는 참모도 문제가 있다”며 “국정감사에서 이 문제를 따지겠다”고 말했다.
추미애 의원도 “한반도를 화약고로 갖다 바치겠다는 위험한 발상”이라며 “이런 문제야말로 국민투표에 회부해야 할 사안으로, 가볍게 넘어가선 안된다”고 주장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