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초에 3월 전면 시행은 무리였다. 학년이 달라지는 새 학기부터 주5일제 수업을 시작하는 바람에 토요 프로그램의 수요 파악부터 제대로 될 리가 없었다. 상당수 학교가 개학일이자 주5일 수업 시행 하루 전인 2일에서야 안내문을 돌렸다니 당국과 일선 학교의 무관심과 안이한 태도에 기가 막힐 뿐이다. 당국은 참여율 저조는 물론 프로그램 부실이 예견됐음에도 신학기 시행을 강행했다. 스포츠데이는 선호도가 가장 높은데도 예산 문제 등으로 강사확보가 제대로 안 돼 체육과 무관한 교사가 학생을 떠맡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이러다 보니 체육교사는 토요일마다 근무해야 할 판이라고 불만을 제기하고 있다. 그런데도 당국은 전체의 30%가 넘는 4,134개 학교에서 시행한다고 숫자타령이나 하고 있다.
이러다가는 대책 없이 아이들을 놀리거나 사교육 시장만 배를 불리게 할 것이라는 우려가 현실화할 수 있다. 토요 프로그램에 대한 학생ㆍ학부모의 불만과 우려와는 달리 학원가와 체험학습 사설업체는 때아닌 호황을 누리고 있다. 정부는 한 달 동안 운영실태를 점검해 종합대책을 내놓을 것이라고 한다. 시도교육청과 유기적 협력을 통해 현장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제대로 파악해 참여율 제고와 질적 개선에 나서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 취약계층 아이들이 홀로 방치되지 않도록 지원책 마련에 소홀함이 없어야 한다. 가뜩이나 소득 수준에 따라 교육 격차가 벌어지는 마당에 체험활동까지 그렇게 된다면 이들의 소외감과 불만은 더욱 커진다. 당국의 적극적인 관심과 분발을 촉구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