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당선인은 당선 직후 "대통합을 이루고 민생을 보살피는 대통령이 되겠다"고 수차례 강조한 만큼 인수위 구성에서부터 실천의지를 보여주어야 한다. 그러자면 선거과정에서 자신을 지지하지 않은 세력과 계층도 인수위에 적극적으로 발탁하는 열린 마음의 대담한 포용력이 필요하다. 또한 박 당선인이 민생경제에 최대 역점을 두고 있는 만큼 인수위 전체의 팀컬러를 '민생'에 맞추고 인적 구성도 그런 기준에 따르는 것이 좋을 것이다.
특히 박 당선인의 선거과정에 참여한 인사일수록 이런 기준과 원칙에 맞는지를 철저하게 따져봐야 한다. 거기서부터 박근혜 리더십이 국민들에게 평가 받게 된다는 사실을 유념해야 한다. 선거참여→인수위 보직→정부 고위직 진출이라는 과거의 자동공식을 깨야 한다. 역대 인수위 출신 인사의 68.5%가 고위직에 기용됐다. 이런 점에서 당선인의 비서실장이었던 이학재 의원이 일체의 임명직을 맡지 않겠다며 백의종군을 선언한 것은 여러모로 반가운 일이다.
인수위는 차기 국정 로드맵을 마련할 때 민생과 함께 성장을 촉진하고 기업활력을 불어넣는 데 최우선 원칙을 세워야 한다. 박 당선인에 대한 국민의 한결 같은 요구는 경제를 하루빨리 살려달라는 것이었다. 더불어 미래를 내다본 중장기적 성장전략을 마련한다는 큰 그림을 그리면서 경제구조의 틀과 원칙을 새롭게 가다듬어야 한다. 기존 정책공약에 대한 전반적인 점검을 통해 비현실적 내용은 걸러내고 필요하다면 야당의 공약도 과감하게 수용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박근혜 정부 5년 성패의 태반은 앞으로 두달간 활동할 인수위의 성과에 따라 결정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박 당선인이 인수위의 상징적 의미와 실질적 중요성을 인식해 최선의 인수위를 구성해줄 것을 기대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