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송현칼럼/9월 20일] 대북지원으로 北 변화 이끌어야
입력2010-09-19 17:06:07
수정
2010.09.19 17:06:07
북한 적십자회가 추석을 앞두고 이산가족 상봉과 이를 위한 실무접촉을 제안해왔다. 최근 우리 측에 요청한 쌀ㆍ시멘트ㆍ중장비 등 수해 복구 및 구호물자를 최대한 많이 받아내려는 의도 같다. 실무접촉이 열리면 북측이 쌀과 중장비 외에 추가적인 대규모 식량지원 등을 요청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이런 노력이 한반도에서 북핵(北核) 등 전쟁 위협이 사라지고 남북이 공동으로 경제발전을 이룩할 수 있다면 더 할 수 없이 좋은 일이다. 그러기 위해 신뢰의 바탕 위에 교류와 경제협력이 확대돼야 한다. 남한의 경제지원이 북한 경제를 재건하고 북한이 경쟁력을 갖추고 스스로 일어서는 계기를 마련해야 한다.
북한 경제는 지구상에 최후까지 남아있는 몇 안 되는 폐쇄경제로 산업시설 및 인프라 등이 극도로 낙후돼 있다. 그뿐 아니라 북한은 해마다 극심한 수재와 기근으로 참상을 겪고 있다. 올해에도 북한의 도처에서 상당한 수재가 있었던 것 같다. 북한이 쌀ㆍ시멘트ㆍ중장비 등을 인도적으로 지원해달라고 요청한 것이다.
지난 2007년에도 평양이 물에 잠겨 피해가 엄청났다. 오죽하면 날짜까지 잡아놓았던 남북정상회담을 연기했겠는가. 북한의 수해와 기근이 심한 원인은 산에 나무가 없고 황폐하기 때문이다. 원래 북한에도 산에 나무가 많았지만 1970년대 '다락밭 개간'과 1990년대 소위 '고난의 행군' 시절 땔감 마련을 위해 마구 베는 바람에 민둥산이 됐다. 따라서 비가 오면 순식간에 흘러내려 홍수가 나고 비가 그치면 가뭄으로 이어진다.
1960~1970년대 한국이 나무를 심을 때 북한은 전인민을 동원해 벌인 경지면적 넓히기 운동이 이런 재앙을 초래했다. 때로는 남한에서도 장마철에 물난리나 태풍 피해를 맞지만 북한에 비하면 피해가 한시적이며 경미하다. 한반도에서 남북 간 이 같이 재앙의 차이가 엄청난 까닭은 무엇인가.
북한은 해마다 계속되는 기근으로 수많은 사람이 굶어 죽는다고 한다. 일견 수재나 기근은 천재지변(天災地變)으로 치부하기 쉽다. 천재지변이라면 누가 책임을 질 일이 아니다. 그러나 이러한 재앙이 해마다 반복될 수는 없다. 쓰나미나 지진이 같은 지점에서 해마다 발생할 수 있는가.
끊임없이 반복되는 재앙은 천재지변이 아니라 인재(人災)이며 국가의 지배구조의 문제이다. 옛날 왕조시대에도 임금이 치산치수(治山治水)를 나라 경영의 기본으로 삼았다. 이것은 민생안정을 의미하며 백성을 편안하게 하는 사업이기 때문이다. 가뭄과 기근이 심하면 임금이 부덕한 탓이라 해 하늘에 기우제를 지내기도 했다. 이런 사례들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노벨 경제학상을 받은 아마르티아 센 하버드대 교수는 자유민주주의가 실시되고 언론의 자유가 보장되는 국가에서는 혹독한 기근이 반복될 수 없다고 주장한다. 센 교수는 극심한 기근이 계속되는 나라에서는 예외 없이 독재정권과 언론탄압이 자행돼왔다고 한다. 오늘날 북한뿐 아니라 기근으로 아사상태를 벗어나지 못하는 수단ㆍ에티오피아ㆍ소말리아 또는 1930년대의 소련, 1958~1961년의 중국 등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중국의 경우 대약진 운동의 실패로 역사상 최악의 기근을 맞았다. 언론을 탄압하고 반대당을 억압하는 독재정권 아래에서는 비판이 없어서 민의가 제대로 반영될 수 없다. 정책실패가 재앙을 초래해도 잘 시정되지 않는다. 반면에 민주주의는 개인의 자유를 확대하고 민의가 잘 반영될 수 있는 체제이다. 따라서 정부는 자연재해의 방지와 복구에도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며 이것이 독재체제와의 차이를 만들어낸다.
과거 DJ정권과 노무현 정권은 해마다 반복되는 북한의 수해와 기근을 돕기 위해 경제적 지원을 확대했다. 그러나 햇볕정책이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북한의 지배구조가 개선돼야 한다. 결국 개방과 개혁을 통한 북한의 정치ㆍ경제ㆍ사회가 변해야 한다. 북한도 민주주의와 언론자유를 확대하고 시장경제를 도입하는 것이 끊임없는 재앙을 막고 번영으로 나아가는 길이다. 대북경제 지원은 북한의 이 같은 노력을 효과적으로 이끌어내야 한다.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