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학기술부는 학습부진 학생 파악과 기초학력 향상을 위해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2012년 기초학력향상 지원방안’을 9일 발표했다.
그 동안 정서행동발달 선별검사가 일부 학교의 학생들만을 대상으로 이뤄졌지만 앞으로는 모든 학생들로 대상을 확대해 학습부진 원인 진단과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방안의 내용이다.
맞춤형 서비스는 ▦학습보조 전담강사 배치 ▦맞춤형 보정자료 제공 ▦기초학력향상 관리 시스템 운영 ▦위클래스 구축 포함 전문상담인력 배치 ▦정서심리ㆍ인성교육 프로그램 개설 및 활용 등으로 운영되며, 검사는 4월 이후 실시된다.
교과부는 전국의 시도 교육청에 ‘학습부진 종합클리닉센터’를 설치한다. 지난해 대구 단 한 곳에 불과했던 센터를 올해 시도단위 교육청 14곳과 지역단위 79곳 등 총 93개소로 확충하는 것이다. 센터에서는 의료ㆍ상담ㆍ학습치료 등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된 지원팀이 운영되며, 학교가 요청할 경우 직접 학교를 방문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또 지난해 기초학력 우수교육청(서울ㆍ대구ㆍ대전ㆍ전남ㆍ경북)으로 하여금 공동으로 학습ㆍ정서심리 온라인 진단도구를 개발해 전체 시ㆍ도교육청에 보급하고, 교사들은 정서행동발달 장애학생 지도 등의 연수를 의무적으로 연 15시간 받도록 했다.
교과부는 지난해 학업성취도 평가에서 기초학력 미달비율이 기준을 넘지 못한 학교 650개교를 ‘창의경영학교’로 지정해 올해 190억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