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진정한 여수엑스포는 여기서 끝난 게 아니다. 여수엑스포 폐막은 또 하나의 출발을 의미한다. 엑스포는 올림픽이나 월드컵과 달리 중장기적 기대효과가 크다. 사회간접자본(SOC) 예산 10조원과 별개로 2조원이 투입된 여수엑스포 박람회의 각종 시설은 국가적으로 큰 자산일 뿐만 아니라 활용 여하에 따라 지역발전에도 엄청난 도움이 된다. 여수엑스포의 진정한 성공 여부가 여기에 달려 있다. 캐나다 밴쿠버는 지난 1986년 엑스포 개최를 계기로 한적한 어업도시에서 북태평양의 관문도시로 탈바꿈했다.
남해안 벨트의 요충지 여수의 지리적 특성상과 기존 시설을 잘만 활용한다면 엑스포 부지 일원이 세계적인 복합 해양친수 공간으로 거듭날 가능성은 충분하다. 사후 활용을 위한 지원법까지 마련해놓았으니 기본여건은 갖춰졌다. 사후 운영에 성공하려면 공공성과 수익성 개념이 조화를 이뤄야 한다. 공공성만 고집하면 시설관리비 부담을 견디지 못해 지속 가능하지 않게 된다. 대전엑스포가 그랬다. 1993년 당시로서는 신기록인 1,400만명의 관람객을 유치했음에도 사전 준비부족에 따른 잦은 사업계획 변경에다 민자유치 실패까지 겹쳐 현재의 엑스포과학공원은 관리비만 축내는 애물단지로 전락해버렸다. 이를 반면교사로 삼아 여수엑스포시설은 국가와 민간이 결합한 제3섹터의 개발ㆍ운영 방식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 해양 관련 국제기구와 연구기관 유치도 적극 추진해야 한다.
정부와 조직위는 이달 말 사후활용 방안에 대한 기본계획을 내놓을 예정이라고 한다. 3년 전의 기본개념을 토대로 업그레이드를 한 모양이나 이렇게 서두를 일이 아니다. 각계 여론을 폭넓게 수렴해 마스터플랜과 실행안을 점검하고 다져가는 과정이 반드시 있어야 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