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는 야권의 단일화 이슈에 맞서 경제 해법을 내놓으며 국정 운영능력을 유권자에게 각인시키려는 박 후보의 전략이다. 당내 일각에서 단일화 맞대응을 위해 개헌을 주장하지만 박 후보는 이보다 성장 방안을 제시하는 쪽을 선호하고 있다. 유정복 중앙선거대책위원회 직능본부장은"민심을 들어보면 국민은 개헌에 관심을 가질 만큼 한가하지 않다"면서 "박 후보 역시 개헌보다는 경제 해법을 내놓는 게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있다"고 전했다. 현실적으로도 내년 이후 악화할 경제상황을 염두에 둔 결과이기도 하다.
박 후보 캠프는 최근 잠재성장률 1%포인트 향상을 목표로 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잠재성장률은 물가상승을 가져오지 않는 범위에서 달성할 수 있는 성장 최대치다. 앞서 이명박 정부가 대선 공약으로 '7%대 경제성장률'을 제시했지만 현실성이 없다는 비판을 들은 만큼 경제의 기초체력에 해당하는 잠재성장률을 높여 성장동력을 키우겠다는 복안이다.
대선 공약을 총괄하는 국민행복추진위원회 힘찬경제추진단의 김광두 단장은 4일 "지금까지 3.5%의 수준을 보였던 잠재성장률은 오는 2016년까지 이 수준을 유지하다 이후 점차 떨어질 수 있다"면서 "이를 집권 기간 평균적으로 4.5%로 1%포인트 올리는 게 목표"라고 말했다.
행추위는 우선 정부의 투명성을 높이는 '정부 3.0' 시스템을 기반으로 정부ㆍ민간 정보 공유를 통해 생산성을 창출한다는 구상이다. 행정정보 공유망을 구축하는 과정에서 정보통신(IT) 소프트웨어산업이 육성되고 공개된 행정정보를 기반으로 새로운 사업영역을 개척할 수 있다는 것이다.
전통적인 경기부양책인 재정 투입도 추진하고 있다. 각 지역 특화산업을 선정해 2조원 규모의 한국판 실리콘밸리인 '스마트밸리'를 만들겠다는 게 그 예다. 박 후보 측은 스마트밸리 건설을 집권 2년 내에 완성해 단기적인 경기부양을 꾀하겠다는 생각이다.
경기침체로 타격을 받는 취약층을 중심으로 약 1조9,000억원을 지원하는 방안도 논의 중이다.
신용회복지원 기금, 소상공인 정책자금 등에 정부 출연금을 대폭 늘리고 '하우스푸어'의 원금 거치 기간을 현행 3년에서 최장 10년으로 늘려 원리금 상환 부담을 덜어준다는 복안이다.
박 후보 측 관계자는 "경제란 상승과 하강을 반복하기 마련이고 그 진폭을 줄이는 것이 필요하다"면서 "현재는 하강 국면이어서 경제민주화 규제 강화만 내놓을 경우 하락폭은 더욱 커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