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 최고위원회의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비공개회의에서 이같이 결정했다.
공천위는 애초 7곳(서울 종로·용산·서초구, 부산 중구, 대구 중구, 경기 과천·이천시)을 1차로 선정한 데 이어 6곳(서울 강남, 부산 남·해운대·사상구, 대구 북구, 경북 포항)을 추가로 검토했지만, 지도부와 마찰을 빚은 끝에 결국 ‘없던 일’이 된 셈이다.
공천위는 여성우선추천 6곳을 포기하는 대신에 기초단체장·기초의원·광역의원에 한해 여성과 장애인에 대해 10%가량 가산점제를 도입하는 방안을 추진할 방침이다.
가산점제는 현직 기초단체장 등 기존 정치인이 아닌 ‘신인’에게만 적용된다.
새누리당은 2012년 4·11 총선에서 여성과 이공계 출신자들에 대해 가산점제가 적용한 바 있지만, 지방선거에 도입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인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정치적 소수자의 정치참여를 위해 여성 우선추천제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고질적인 친이(친이명박)·친박(친박근혜) 계파갈등이 재현되고 지역구 이기주의에다 성(性) 갈등까지 불거지면서 당내 곳곳에 상처만 남겼다는 지적이 나온다.
당은 또 선진당 합당으로 논란이 불거졌던 대전·충남·세종시 대의원 선거인단 문제와 관련해선 새누리당 대 선진당 비율을 5대 5로 구성하기로 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