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자물가 안정은 글로벌 저물가의 영향이 컸다. 경기침체와 국제 원자재가격 안정으로 수입물가도 덩달아 하락했다. 글로벌 인플레이션이 2011년 4.9%에서 지난해 3.8%로 떨어졌고 저물가가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다. 하지만 국내 소비자가 직접 마주하는 현실은 딴판이다. 최근 한 대형마트의 조사에서 장바구니물가 상승폭(3.5%)은 소비자물가 상승률(1.3%)보다 2.7배나 높았다. 올 들어 새우깡 같은 과자와 유제품·공공요금의 릴레이 인상도 가계부의 주름살을 더욱 깊게 만들었다. "봉급만 빼고 모든 게 다 오른다"는 푸념이 절로 나오는 판이다.
이명박 정부와 현정부 출범 초기 인상요인이 과도하게 억눌려왔다는 점을 모르는 바는 아니다. 하지만 글로벌 저물가의 혜택이 국민에게 돌아가지 않고 다른 곳에 집중된다면 문제다. 정부 통계에 대한 불신과 소비심리 위축에 그칠 사안이 아니다. 경기침체에 지쳐 있는 국민들이 자칫 '기업들이 소비자를 봉으로 삼는다'고 생각한다면 문제는 심각해질 수도 있다. 불신으로 불필요한 사회적 비용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우리 경제가 뜻하지 않은 장애물을 만날지도 모른다.
지금 우리 경제는 앞날을 장담할 수 있는 처지가 아니다. 미국 경제가 되살아나고 있다고는 하지만 양적완화 축소에 따른 신흥국 위기나 중국 경기 둔화 같은 대외불안 요인은 여전하다. 국내 소비자까지 기업과 정부에 대한 불신으로 등을 돌리게 된다면 경제 활성화에 대한 기대는 요원해질 수밖에 없다. 생산자·소비자물가가 국민의 체감물가와 따로 놀지 말아야 하는 이유가 하나 더 늘어났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