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풍은 일반적으로 여름이 지나고 가을이 시작될 무렵 발생한다. 하지만 최근 봄철, 달갑지 않은 손님 태풍이 벌써 7차례나 발생했다. 평년에 대개 2~3개 발생한 것을 고려하면 올해는 유독 발생 빈도가 높다. 지난 겨울부터 지속되는 엘니뇨 현상과 대기상황이 종합적으로 영향을 미치면서 때 이른 태풍이 발생했다고 여겨진다. 게다가 지구온난화로 인해 태풍의 강도가 세지면서 우리나라 태풍도 쉽게 약화하지 않고 강력해질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런 상황이 계속된다면 안전하지 못한 태풍 시즌을 맞을 가능성이 크다.
태풍은 중심 최대풍속이 초속 17m 이상으로 강한 비바람을 동반하는 열대저기압을 말한다. 태풍은 지역에 따라 허리케인·사이클론 등 다른 이름을 갖지만 결국은 같은 현상이다. 우리가 사는 북서태평양 지역에서는 통계적으로 1년에 25.6개의 태풍이 발생하고 이 중 3.1개의 태풍이 한반도에 영향을 준다. 태풍은 수자원을 확보하고 적조현상을 해소하는 등 긍정적인 측면이 있지만 우리가 치러야 할 대가 역시 매우 혹독하다.
지난 2005년 8월 허리케인 '카트리나'가 발생하면서 미국 뉴올리언스의 80%가 침수됐고 2,000여명이 사망했다. 2013년 11월에는 태풍 '하이옌'이 필리핀을 강타해 100만가구가 생계 터전을 잃었고 6,300여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태풍이 발생한 지 2년이 다 됐지만 필리핀 상당수 지역은 여전히 복구되지 못하고 있을 정도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2002년 8월 발생한 태풍 '루사'와 2003년 9월 발생한 태풍 '매미'가 가장 큰 영향을 준 것으로 기록돼 있다. 루사의 영향으로 246명의 사망·실종자가 발생했고 재산 피해액은 무려 5조원에 달했다. 매미는 순간 최고 풍속도 초속 60m를 기록한 가장 강력한 태풍으로 피해액은 4조2,225억원에 달했다.
우리나라를 통과한 태풍 순위 10개 중 6개가 2000년 이후에 기록된 것으로 나타나며 이 기간에 태풍으로 인한 피해액은 20조원에 이르고 피해 복구비는 통상적으로 두 배 이상이 들어가 국가적 손실이 매우 크다. 이에 기상청은 국민이 신속하게 정보를 파악하고 안전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2008년 국가태풍센터를 설립했다. 기상청은 태풍 예보시스템을 자체 개발하는 등 태풍 예보기술을 향상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특히 5월1일부터는 '열대저압부 대국민서비스' 운영을 시작했다. 태풍으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태풍의 발생 전과 태풍의 약화 뒤인 열대저압부 단계까지 분석영역을 확장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태풍을 대비하고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가장 피해가 크고 대책을 수립하기 어려운 것이 바로 태풍이다. 태풍은 특정인만을 대상으로 하지 않는다. 모두가 태풍을 이해하고 태풍의 위험으로부터 철저히 대비하려는 노력을 기울일 때 비로소 안전한 대한민국이 수립될 것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