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질 일간지 폴랴 데 상파울루는 29일(현지시간) 아르헨티나에서 일반인의 달러화 거래를 엄격하게 통제하는 조치가 시행됐다고 보도했다.
출국에 앞서 환전소에서 달러화를 사려면 목적지와 귀국 날짜는 물론 달러화를 살 돈을 어떻게 마련했는지도 명확하게 밝혀야 한다. 국세청은 수색견을 동원해 인접국 우루과이로 가는 도로와 국제공항에 대한 검문검색도 강화했다.
아르헨티나 정부의 이 같은 조치는 달러화의 국외유출을 막으려는 의도에서다. 크리스티나 페르난데스 대통령은 지난해 12월 2기 정부를 출범시킨 이후 달러화 국외유출 억제에 주력해 왔다. 그러나 달러화 국외유출은 2011년 200억 달러를 넘었고 올해 들어서도 1~4월 사이 25억 달러가 이탈했다.
아르헨티나는 미국을 제외하고 달러화가 시중에 가장 많이 유통되는 국가의 하나로 꼽힌다. 아르헨티나 국민의 1인당 달러화 보유액은 평균 1,300달러다.
달러화를 살 수 있는 창구가 제한되면서 암시장의 환율은 크게 뛰었다. 달러화에 대한 아르헨티나 페소화의 공식환율은 달러당 4.4페소지만, 암시장 시세는 달러당 6.6페소를 기록하고 있다.
올해 1월1일만 해도 공식환율은 달러당 4.3페소, 암시세는 달러당 4.7페소였다. 공식환율로 따지면 페소화 가치가 4.2% 하락했으나 암시세로는 18.8% 떨어진 셈이다.
달러화 거래 규제 강화로 부동산 업계가 가장 먼저 타격을 받고 있다. 아르헨티나에서 부동산 거래는 달러화를 기준으로 하는 것이 관행이기 때문이다. 달러화 유통이 줄어 거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서 부동산 가격은 25%가량 하락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