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27.94포인트(0.73%) 하락한 1만7,440.59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12.01포인트(0.58%) 내린 2,067.64에, 나스닥 종합지수는 48.85포인트(0.96%) 하락한 5,039.78에 장을 마감했다.
이날 뉴욕 증시 하락은 중국 주가 폭락 사태가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중국 상하이 종합지수는 경기 둔화와 정부의 증시 부양책 철회 우려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8.5% 급락했다. 이는 지난 2007년 이후 최대 낙폭이다. 중국 증시 폭락은 아시아는 물론 유럽 등 세계 증시도 끌어내렸다. 범유럽지수인 유럽스톡스 600지수는 2.2% 급락하며 이달 들어 가장 큰 하락폭을 기록했다. 독일 DAX 30지수와 프랑스 CAC 40지수도 각각 2.6% 하락했다.
중국 증시 급락 후 중국증권감독관리위원회(CSRCㆍ증감회)는 중국증권금융공사(China Securities Finance Corp)를 통한 주식 매입을 확대할 방침이라고 밝혔지만, 미 증시를 안정시키기에는 역부족이었다. 중국 등 글로벌 경기 둔화로 유가 등 원자재 가격이 하락한 것도 증시에 악영향을 미쳤다. 이날 뉴욕상업거래소에서 9월물 서부텍사스산 원유(WTI) 가격은 배럴당 1.6% 떨어졌다. 중국발 우려가 커지면서 미 국채 수익률이 하락하는 등 안전자산은 강세를 보였다.
이날 발표된 미 경기 지표가 시장 예상치를 웃돌았지만 얼어붙은 투자 심리를 되돌리기는 역부족이었다. 이날 미 상무부는 6월 내구재수주실적이 3.4%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시장 전망치인 2.6% 증가를 상회하는 수준이다. 연방준비제도(Fedㆍ연준)는 오는 28~29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열어 기준금리를 결정할 예정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