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의원은 "농산물의 경우 한 해 평균 원산지 표시 위반 건수가 4,300건을 넘는다"며 "원산지를 거짓으로 표시한 것이 2,700건, 원산지를 아예 표시하지 않은 경우가 1,621건으로 거짓 표시나 미표시로 적발된 건수가 평균 62.8%, 37.2%에 이른다"고 지적했다. 연도별로는 △2010년 4,894개소 △2011년 4,927개소 △2012년 4,642개소 △2013년 4,443개소에 달했다. 올해의 경우 지난 7월까지만 해도 위반 업소는 2,876개소다. 지역별로는 △경기 542건 △전남 422건 △경북 416건 △경남 391건 △서울 354건 △강원 334건 △전북 303건 △광주 252건 △충북 238건 △대구 215건 등이다. 이 밖에 충남과 대전·인천에서도 100건을 이미 훌쩍 넘겼다. 특히 품목별로는 △돼지고기가 1,023건으로 가장 많은 가운데 △배추김치 806건 △쇠고기 619건 △쌀 294건 △닭고기 181건 △떡 116건 등이 뒤를 이었다.
박 의원은 위반 업체도 공판장과 할인점·뷔페 등에서 다양하게 적발되고 있어 다가올 추석을 대비해 철저한 단속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박 의원은 "소비자들에게 정확한 원산지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소비자들이 안전한 국내 농수산물을 선택할 수 있도록 농식품부의 적극적이고 철저한 단속과 함께 위반하면 형사처벌 및 과태료 수준을 상향시키는 등 제재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