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합의 도출'엔 적극… '녹색산업 주도권 잡기'엔 동상이몽
입력2009-12-09 18:21:08
수정
2009.12.09 18:21:08
[글로벌 포커스] 코펜하겐 회의 참가국들 속내는<br>美, 낮은 목표치로 반발사자 자금지원등 빈국 동의 유도<br>中, 45% 감축안 내놓고 태양광 수출 확대등 이익챙기기<br>印尼·브라질등 개도국은 선진국 기술·자금 유치에 주력
지금 덴마크 코펜하겐에서는 전 세계 192개국 관계자들이 모여 글로벌 기후변화를 막기 위한 대안 짜기에 골몰하고 있다. 각국은 이번 회담에서 교토의정서의 뒤를 이을 확실한 결론을 내지는 못하더라도 온실가스 방출량 감소에 관한 전 지구적 약속이 도출될 수 있기를 바라고 있다.
한동안 미국마저 외면했던 기후변화 협약이 이렇게 전 세계적인 관심과 이목을 끌게 된 이유는 지구환경에 대한 경각심이 높은 진 것도 있지만 또 다른 한편으로 이른바 '녹색산업'이 금융위기 이후 전 세계의 성장세를 이끌어 갈 수종산업으로 부상하고 있기 때문이다.
선진국들은 투입 대비 최대 효과를 창출하기 위해 묘안 짜기에 바쁘고, 개도국들은 선진국들로부터 녹색산업 관련 자금 및 기술 이전이 뒤따르기를 바라고 있다.
코펜하겐에 모인 각국의 서로 다른 속내를 월스트리트저널(WSJ)을 통해 들여다 본다.
◇미국=기후변화 관련 법안이 상원에서 지연되며 실질적인 감축 의지에 의문을 받아왔지만 회의 첫 날이었던 지난 7일 의회 동의 없이 시행 가능한 행정부 자체 시행령을 내놓으며 한결 분위기가 개선됐다.
미국은 오는 2020년까지 온실가스 방출량을 지난 2005년 수준에서 17% 가량 줄이겠다는 것. 이 목표치에 대해 다른 나라들은 좀 더 상향해야 한다는 반응이다. 미국의 목표치는 1990년 수준에 불과하다고 평가되기 때문이다.
미국은 저탄소산업에 자금을 지원해 빈국의 동의를 이끌어내겠다는 입장이며 중국과 인도 등 개도국들도 방출량 감소에 보다 더 공헌해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다.
◇중국=세계 최대 온실가스 방출국가인 중국은 국내총생산(GDP) 단위 당 기준으로 이산화탄소방출량을 최근 2020년까지 2005년에 비해 40~45% 가량 줄이겠다는 자발적인 감축안을 내놓았다. 그러나 중국의 높은 성장률을 감안할 때 배출량 절대치는 감소하지 않을 것이고 교토의정서 기준 시점인 1990년에 비해서는 훨씬 높아질 것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중국의 움직임은 선진국으로부터 더 많은 자금과 기술이 넘어올 수 있고 태양광 및 풍력장치 수출이 늘 것이라는 경제적 이익을 고려한 것으로 보고 있다. 중국이 가장 두려워하는 것은 2012년 교토의정서 종료에 따라 탄소배출권 거래가 중단될까 하는 점이다.
과거의 배출량을 기준으로 배출권을 나눠주기 때문에 오염도가 컸던 중국은 전 세계 배출권의 59%를 차지하고 있다. 반면 대다수 개도국들은 탄소배출권 거래보다 탄소세 부과를 주장하고 있다.
◇유럽연합(EU)=27개 EU국가들이 코펜하겐에서 한 목소리를 낼 수 있을 지가 포인트다. EU는 이산화탄소 방출량을 2020년까지 1990년 대비 20% 줄이겠다고 밝힌 뒤 목표치를 30%까지 올릴 수 있다고 밝혀 왔다.
EU는 그러나 "다른 국가의 기여도가 미약하다"며 회의 첫날 철회 가능성을 예고한 상태다. EU는 개도국을 재정적으로 지원할 준비도 갖췄다고 밝혔으나 구체적인 형태를 제시하지는 않고 있다.
서부유럽 국가들이 호의적인데 비해 동유럽 국가들은 "낼 돈이 없다"며 반발한다. 이밖에 EU는 탄소배출권거래제도(ETS)가 미국 등 선진국들로 확대되고 전 세계적인 시장이 형성되기를 원한다.
다만 폴란드와 다른 동유럽 국가들은 이번 조약으로 인해 경제적 부담이 늘지 않기를 희망하고 있다. 이들의 이슈는 EU 국가들이 어떻게 재정적 부담을 나눌 것인지 여부다. 서유럽 국가들은 이산화탄소 방출량을 기준으로 기여도를 나눠야 한다고 이야기한다.
그러나 에너지원으로 석탄 의존도가 높은 동유럽 국가들은 경제 규모에 기준해 분배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폴란드 역시 탄소배출권 판매가 확대되기를 원한다. 폴란드는 지난 20년간 이산화탄소 방출량을 30% 가량 줄였기 때문에 수십억 유로 상당의 배출권을 판매할 수 있다.
◇인도네시아=인도네시아는 중국, 미국에 이어 세계 3위 온실가스 방출국가로 분류된다. 방출량의 상당수는 숲 개간에 따른 결과다. 인도네시아는 숲 자원 보존을 위해 국제적 기술과 자금을 요구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숲 자원 보존으로 방출량을 줄일 경우 이에 대한 대가를 챙길 수 있기를 원한다. 인도네시아는 202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26%까지 줄이겠다고 밝혔으나 국제적 자금과 기술지원이 뒤따른다면 목표 수준을 41%로 올릴 수 있다고 공언하고 있다.
◇러시아=러시아의 목표는 기후변화협약 자체가 아니라 투자 유치다. 러시아는 노후화된 구 소련 시대의 산업 인프라를 더 효율적으로 만들어야 할 필요에 직면해 있다. 러시아는 에너지 효율도를 오는 2020년까지 40% 가량 증진시키겠다는 목표다. 외교관들은 온실가스 방출량을 1990년 수준의 20~25%까지 줄이겠다고 밝히고 있다.
◇아프리카=아프리카 국가들은 수십 년 동안 온실가스 배출을 주도해 온 선진국들이 지구 온난화에 따른 피해를 보상해 줘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아프리카는 동부 지역의 기록적 가뭄이나 홍수 등 온난화에 따른 타격을 가장 먼저 입고 있는 지역이기 때문이다.
아프리카(AU) 연합이 원하는 보상 액수는 수십억 달러 상당인 것으로 파악된다. 또한 나이지리아 등 산유국들은 선진국들의 석유 소비량 감소에 기반해 적절한 보상이 뒤따라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브라질=브라질 정부는 아마존 밀림의 개간을 줄이고 친환경 자동차의 사용을 늘려 온실가스 방출량을 36~39%까지 줄이기를 희망한다. 그러나 공격적인 목표 달성 여부는 선진국들의 자금 지원에 달려있다고 말하고 있다.
또한 남미 제1의 경제대국으로서 산업생산이 억제되는 것을 바라지 않는다는 분위기다. 산림개간을 줄이려는 노력은 현지 법 집행력의 부재로 곤란을 겪을 가능성도 높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인도=인도 역시 최근 미국ㆍ중국에 이어 오는 2020년까지 2005년 방출량을 기준으로 GDP 단위 당 20~25%의 온실가스를 줄인다는 자체 감축안을 내놨다. 인도는 온실가스 대책에 가장 길게 저항해 온 나라로, "아직 인도는 개발과 경제 성장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또 역사적 책임이 있는 선진국들이 강한 제안을 두는 게 당연하다는 견지다. 그린 에너지 산업 부양을 위한 재정 및 기술이전은 환영하고 있다. 그러나 주요 개도국들과 마찬가지로 의무감축을 명문화한 협상에는 절대 서명하지 않겠다는 의사를 분명히 하고 있다.
◇에콰도르=산유국인 에콰도르는 이번 회의에 앞서 기발한 아이디어를 내놓았다. 연간 8억5,000만 배럴의 오일 생산량에 상응하기 위해서는 선진국들이 35억 달러를 지불해야 한다는 것이다. 에콰도르의 원유는 자연보호지구인 아마존 숲에 위치해 있다.
오늘의 핫토픽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