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통일부 남북회담본부에 따르면 1971년부터 2014년까지 639번의 회담이 개최됐고 합의서는 165건, 공동보도문은 71건이 각각 채택됐다. 한 통일부 당국자는 “합의서 채택을 위해서는 회담에서 양측 간 구체적인 합의점 도출이 이뤄져야 한다”며 “원론적인 사항에 대한 합의에 그칠 경우에는 공동보도문이 채택된다”고 설명했다. 지난달 16일 개성에서 개최된 개성공단 공동위원회 제6차 회의처럼 남북이 아무런 합의점을 찾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분야별 개최 회수는 정치 관련 회담이 251번으로 가장 많고 이산가족 상봉 등을 논의하는 인도 분야(152)를 비롯해 경제(132), 사회문화(55), 군사(49) 순으로 그 뒤를 잇는다. 지난 22일부터 진행 중인 남북 고위급 접촉은 정치 관련 회담으로 분류된다.
분야별 합의서 채택 건 수는 경제(76), 정치(33), 군사(10) 순으로 나타났다. 남북이 가장 합의점을 찾기 쉬운 분야가 경제임을 보여주는 결과로 해석된다.
개성공단이 들어선 2000년대(2000~2014년) 들어서는 전체 회담 291번 중 경제 관련 회담(126번)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2000년 현대아산과 북한 조선아시아태평양평화위원회가 개성공단 운영에 대한 합의서를 체결했고 이를 바탕으로 개성공단은 2004년부터 가동됐다. 개성공단을 중심으로 한 남북 경제협력의 활성화가 반영된 수치인 셈이다. 이 시기 정치 분야 회담은 62번, 군사 49번, 인도는 33번에 그쳤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