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지부는 2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중앙메르스관리대책본부 정례브리핑에서 “금번에 발생한 (3차 감염) 사례와 관련, 현재 격리 대상자를 분류하고 있다”며 “분류가 끝나면 현재 격리자 수보다 상당 배수 높은 수치를 분류해야 할 상황”이라고 밝혔다.
복지부가 이날 발표한 격리 대상자는 750여명으로, 이 보다 숫자가 크게 늘어날 가능성을 내비친 것이다.
국내 첫 3차 감염을 일으킨 16번째 환자는 지난달 15~17일 ⓑ병원에서 치료를 마치고 퇴원한 후 20일부터 열감을 느낀 것으로 전해졌다.
이후에도 격리되지 않은 채 25~27일 모 병원에 내원했고, 28~30일에는 ⓓ병원 6인실에 입원하면서 같은 병실 환자에게 메르스를 감염시켰다.
국내 첫 메르스 관련 사망자 역시 격리되기 전 여러 병원을 옮겨 다닌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달 15~17일 ⓑ병원에서 메르스에 감염된 것으로 추정되는 이 환자는 지난달 31일 오후 늦게야 격리됐고, 그 다음날 오후 4시쯤 사망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따라 격리되지 않았던 환자와 밀접하게 접촉한 사람 등이 격리·관찰 대상으로 분류되면서 그 수가 급증할 것으로 보인다.
복지부는 메르스 발병 병원 공개여부에 대한 질의에 “오늘 오전 회의에서도 일부 병원 공개에 대한 의견이 있었지만, 절대다수에게 병원 명칭을 공개하는 것보다 의료진들이 격리 대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하는 방식으로 의견이 모였다”고 밝혔다.
격리 대상자나 밀접 접촉자, 메르스 발생 병원 방문 이력자 등이 다른 병원에서 진료를 받을 때, 의료진들이 해당 환자의 진료·방문 이력을 파악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해 보급하겠다는 계획이다.
복지부는 “병원을 공개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이런 방식으로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복지부는 자가 격리로 생업이 중단되는 대상자들에게 긴급생활복지를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학생들에게는 “격리로 중단되는 학업을 뒷바라지할 방안을 세우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날까지 메르스 환자 수는 총 23명이며 이 중 C(76·남)씨, M(35·남)씨, O(40·남)씨 등은 상태가 불안정하다고 복지부는 전했다.
/디지털미디어부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