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국제문제연구소가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지난해 말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통일을 위해 추가비용을 부담할 의향이 있느냐. 있다면 1년에 얼마를 부담할 의향이 있느냐’는 질문에 응답자의 44.3%가 ‘부담하지 않겠다’고 답했다. ‘5만원 미만’을 부담하겠다는 응답은 31.9%, ‘5만∼10만원’은 11.7%, ‘10만∼30만원’은 8.7%를 차지했으며, ‘100만원 이상’을 부담하겠다는 응답자는 1.2%에 머물렀다.
통일 시기와 관련해서는 ‘가급적 빨리 통일을 해야 한다’는 응답은 25.8%, ‘통일은 해야 하나 서두를 필요가 없다’는 응답은 45.8%를 차지했다. ‘굳이 통일할 필요가 없다(18%)’와 ‘통일에 관심이 없다(10.2%)’는 부정적인 답도 30% 가량에 달했다.
통일에 대한 세대간의 인식 차도 큰 것으로 조사됐다. 19∼29세 응답자 중 ‘통일이 매우 중요하다’는 응답 비율은 28.5%에 그쳤으며 ‘별로 중요하지 않다’와 ‘전혀 중요하지 않다’는 응답은 각각 24.5%, 7.1%를 기록했다. 이와 달리 60세 이상에서는 ‘통일이 매우 중요하다’는 응답 비율이 46.7%로 높았고, ‘전혀 중요하지 않다’는 답을 고른 이는 한 명도 없었다.
통일 추진에 가장 큰 장애물로는 북핵 문제(38.5%)를 꼽았으며 이어 남남갈등(24,7%), 통일비용(23.3%), 주변 강대국의 입장(12.4%) 등이 뒤를 이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