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가족구조에 따른 아동 우울의 보호요인 탐색’ 논문을 보면 한부모 자녀 134명 가운데 본인이 우울한 상태(가벼운+중간 정도+심한 우울 상태)라고 응답한 사람은 51명(38%)에 달했다.
이는 양부모 자녀(2,749명)가 우울한 상태에 있다고 대답한 비율(22.3%) 보다 높은 수치다.
논문을 집필한 청소년정책연구원 송수정 연구원은 “이혼과 사별 등으로 한부모 혼자 가정을 담당하면 경제적 빈곤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커지는데, 이런 기제가 아동의 적응에 부정적으로 기능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송 연구원은 그러나 한부모 자녀의 우울증 수준이 전반적으로 높더라도 지역사회에 많은 관심과 지지를 받은 경우 양부모 자녀보다 우울 수준이 낮았다고 설명했다.
그는 “지역사회 지지가 한부모 가족 아동에게 더 큰 효과를 낸 것을 미뤄볼 때 부모가 줄 수 있는 긍정적 기능을 지역사회가 메워 준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현재 여성가족부와 보건복지부가 한부모 자녀에게 경제적 지원, 교육·활동참여 기회를 제공하고 있지만, 앞으로 관계 형성과 유지에 중점을 둔 지역사회 내 지지체계를 강화한다면 더 효과적인 정책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