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조사단의 단장을 맡은 박창근 관동대 토목공학과 교수는 22일 "시공사가 공사 품질 관리에 실패한 것이 동공 발생의 직접적인 원인"이라고 밝혔다. 박 교수는 "시공사가 실드(Shield) 공법을 채택했으나 시공능력이 부족했다"며 "공사를 하면서 계획한 양보다 많은 흙을 지상으로 배출한 것이 조사결과 확인됐다"고 했다.
길이 490m의 석촌지하차도 아래서는 8월 한 달간 길이 80m의 동공을 비롯해 7개의 동공이 발견됐고 이들 동공의 길이를 합치면 135m에 달한다.
실드 공법은 공업용 다이아몬드 수십개가 박힌 원통형 기계를 회전시켜 흙과 바위를 부수면서 수평으로 굴을 파고 들어가는 방식이다. 이때 갈린 흙은 컨베이어벨트를 통해 기계 뒤로 나온 후 지상으로 배출된다. 조사단은 시공사가 예상한 배출량보다 더 많은 흙이 기계 뒤로 나왔는데도 이를 파악하지 못하고 공사를 진행해 동공이 발생한 것으로 보고 있다. 또 박 교수는 "시공사는 공사를 진행할 때 어떤 문제가 있을 수 있는지 이미 알고 있었고 비상매뉴얼도 만들었지만 공사 관리에 실패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삼성물산은 "동공이 발견되기 전까지는 이상한 징후를 발견하지 못했다"고 해명했다. 서울시는 다음주 초에 조사단의 동공 발생에 대한 최종 결론과 함께 종합대책도 발표할 예정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