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일본의 주요 언론과 월스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아베 차기 총리는 전날 후지TV에 출연해 "일본 수출기업들이 이익을 보려면 엔ㆍ달러 환율이 90엔은 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앞서 이시바 시게루 자민당 간사장도 엔ㆍ달러 환율을 85~90엔대에 맞추겠다고 밝혀 아베 정권이 외환시장에 직접 개입할 것임을 내비쳤다.
아베 차기 총리는 이어 "(엔화 값이) 달러당 85엔을 넘으면 지금까지 세금(법인세)을 내지 않았던 기업도 내게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한 나라의 최고권력자가 목표환율을 제시하는 것은 유례가 없는 일로 자국 제조업체의 수출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환율을 조작하고 있다는 국제사회의 비난 가능성까지 무릅쓰겠다는 것이다.
아베 차기 총리는 일본은행에 직접적인 금융완화에 대한 최후통첩도 했다. 그는 "일본은행은 다음 회의에서 (물가상승 2% 목표설정을) 검토해야 할 것"이라며 "그렇지 않으면 일본은행법을 개정한 뒤 일본은행과 물가목표에 대한 협정을 체결하겠다"고 밝혔다. 자민당이 총선공약으로 디플레이션(물가하락) 탈피를 호소해 압승을 거둔 만큼 구체적인 시한을 정해 일본은행에 물가상승 정책을 펴라고 압박한 셈이다.
물가뿐 아니라 고용확대 책임도 일본은행이 떠안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베 차기 총리는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가 실업률에 관한 수치기준을 도입했다는 점을 거론하며 "일본은행도 FRB처럼 고용에 대한 책임을 지게 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전세계 중앙은행들이 돈을 찍어내며 자국경제를 떠받치고 수출을 늘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아베 차기 총리는 또 내년 가을까지 경기가 회복되지 않으면 소비세율을 현행 5%에서 8%로 올리는 시점을 미룰 것임을 시사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