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삼성물산 등 17개 건설투자자들은 긴급 개최된 8월 이사회에서 롯데관광개발 등 전략적 투자자들이 제시한 중재안에 대해 거부의견을 제출했다.
건설투자자들은 이날 이사회에서 "주주 간 협약정신에 따라 사별로 지분비율에 따라 책임을 분담하는 것이 원칙이며 17개 건설투자자에만 9,500억원의 지급보증을 요구하는 것은 협약정신에 반하는 것"이라며 중재안을 거부했다. 긴급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서는 증자나 지급보증 등 어떤 방식이든지 주주사들이 지분율에 따라 책임을 나눠 져야 한다는 주장이다.
드림허브의 최대주주이자 발주자인 코레일 측도 "중재안 중 현행 법규에 위배되는 일부 사안 외에 유상증자와 반환채권 등을 통해 자금을 마련하는 데 원칙적으로 찬성한다"면서도 "다만 토지매매 계약금 10%를 반환채권으로 제공하는 것은 공기업ㆍ준정부기관 계약 사무규칙 등에 어긋나 동의할 수 없다"고 밝혔다. 코레일 측은 최악의 경우 지난 7월21일 삼성물산 등에 보낸 최고 통지를 근거로 8월20일 사업협약 해지도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한편 롯데관광 등 전략적 투자자들은 7월11일 17개 건설투자자들이 9,500억원에 대해 지급보증으로 자금을 조달하는 대신 코레일이 내년까지 받게 될 1조8,234억원의 토지대금을 반환채권으로 제공한다는 내용의 중재안을 제시했다. 또 아울러 30개 전체 출자사가 지분별로 3,000억원을 증자해 자금을 마련하고 IT 투자자인 삼성SDS는 500억원의 지급보증을 서줄 것을 제안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