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통신장비업체인 화웨이(華爲)그룹이 미국 사모펀드 베인캐피털과 공동으로 미국 통신보안업체인 쓰리콤을 인수하려던 시도가 무산됐다. 21일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미 재무부 산하 대외투자위원회(CFIUS)가 화웨이그룹과 배인캐피털이 쓰리콤을 인수하면서 매입하려던 주식거래를 불허했다. CFIUS는 쓰리콤이 미 국방성에 네트워크 보안 장비와 기술을 지원하는 만큼 중국 업체에 매각될 경우 국가보안이 새나갈 수도 있다고 이유를 설명했다. CFIUS는 자국 기업 매각이 국가 안보에 해가 될 경우 이를 금지할 수 있다. 투자 금지 조치가 내려지면 이미 투자된 계약도 무효가 된다. 화웨이와 베인캐피털은 지난해 10월 쓰리콤을 22억 달러에 인수키로 합의했다. 화웨이와 베인캐피털이 쓰리콤의 지분을 20%, 80% 각각 나눠 갖는 조건이었다. 하지만 화웨이가 최근 쓰리콤 지분을 20% 이상 매입하려는 의도를 보이고, 이사회 의석 확보도 추진하면서 가뜩이나 중국 기업에 대한 반감이 컸던 미 의회와 정부의 우려감을 자극했다는 분석이다. 베인캐피털은 민감한 기술을 보유한 일부 사업부를 분할하는 수정안도 제시했지만, 미국 정부의 반대를 꺾는데 실패했다. 중국인민해방군 장교 출신인 쟝페이 화웨이 최고경영자가 중국인민해방군과 연계돼 있다는 의구심도 이번 결정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미국 정부의 자국 기업에 대한 매각 불허는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지난 2005년에는 중국의 중국해양석유총공사(CNOOC)가 미국의 석유업체 유노칼을 130억 달러에 인수하려 했지만, 에너지 안보를 내세워 무산시킨 바 있다. 이에 따라 국부 펀드 등 중국 내부의 반발도 높아지는 상황이다. 중국내 투자펀드의 한 관계자는 "CFIUS는 점점 커지고 잇는 미국 내 금융 보호주의의 상징"이라며 "앞으로도 CFIUS로부터 승인을 받아야 한다면 투자 자체를 재고할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중국도 최근 자국 업체에 대한 외국인의 투자에 제한을 두는 등의 조치를 취해 이번 사태를 계기로 양국 내 보호주의 성향이 강화되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