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년간 500선에 갇혀 있던 코스닥 지수가 지난 2월 600선을 돌파한 후에도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과거 코스닥시장은 '작전'이라 불리는 불공정거래가 만연했고 횡령·배임·분식회계 등으로 투자자들로부터 외면을 받았다. 우량기업은 코스닥시장 상장을 주저했다. 당시의 혼탁한 코스닥시장에 대해 비판의 날을 세우는 의견은 많았지만 시장참여자에 대한 신뢰 회복은 온전히 거래소의 책임으로 돌려졌다. 거래소는 코스닥시장의 신뢰 회복을 위한 근본적인 조치가 선행되지 않으면 회복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했고 2009년부터 혁신적 시장관리방안을 실행했다. 이러한 노력으로 2009년 이후 300여개의 부실기업이 퇴출되면서 코스닥시장의 질적 수준이 한 단계 제고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진입 정책 부분에서는 수익성에 대한 검증 강화 및 경영 투명성에 대해 엄격한 심사를 통해 투자자의 신뢰회복에 중점을 두도록 했다. 하지만 투자자보호에 중점을 둔 진입정책은 상장기업 수 감소 및 기업자금조달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기도 했다. 거래소는 2013년 이후 시장 건전성 강화라는 퇴출정책의 기조는 유지하되 투자자보호와 기업자금조달의 균형을 모색하는 방향으로 상장정책을 전환해 상장 활성화를 적극 추진했다. 이런 노력으로 코스닥시장을 통한 직접자금조달이 2012년 약 7,000억원에서 2014년 약 1조8,000억원으로 대폭 증가했다.
최근의 코스닥 상승세는 1999년 말과 같은 벤처광풍이 아닌 그동안 시장 정화 및 상장 활성화 추진 등 질적·양적 개선 노력의 결실로 보는 것이 더 타당하다. 일부에서는 3월 현재 3조1,000억원에 달하는 신용융자 잔액 등을 근거로 버블을 우려하고 있다. 그러나 과거와 달리 기업 펀더멘털이 뒷받침되고 개인투자자의 투자문화도 점차 성숙되고 있다. 또 최근에는 기관·외국인의 매매 비중이 지속적으로 증가해 11%를 웃돈다. 그동안 다져진 탄탄한 체력을 바탕으로 코스닥시장의 한 단계 도약을 기대해본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