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달 40개 내외의 대기업이 기업개선작업(워크아웃) 또는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 방식으로 수술대(구조조정)에 오른다. 이와 별개로 금융권의 신용공여액이 50억원 이상~500억원 미만인 중소기업에 대한 평가작업도 다음달부터 본격화한다.
동부 계열사들이 줄줄이 워크아웃이나 법정관리 위기에 처한 가운데 대규모 구조조정이 추가로 예고되며 시장에 '퇴출 공포'가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금융회사의 여신심사가 까다로워지고 있으며 경기침체에 따른 일시적 유동성 부족으로 흑자부도에 빠지는 기업이 늘 수 있다는 우려가 고조되고 있다.
29일 금융당국과 금융계에 따르면 채권은행들은 기업구조조정촉진법에 따라 신용공여액 500억원 이상인 대기업들을 대상으로 한 정기 신용위험 평가를 최근 마무리 짓고 다음달 초 C등급(워크아웃)과 D등급(법정관리) 기업 목록을 확정한다.
올해 정기 신용위험 평가를 받은 기업은 지난해의 1,802곳(세부 평가 대상 584곳)보다 소폭 증가했으며 심사를 마무리한 결과 워크아웃이나 법정관리에 들어가는 구조조정 대상 기업은 40개 내외가 될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4~5년간 구조조정을 대거 했음에도 구조조정 대상 기업이 줄어들지 않은 것이다.
당국과 채권단의 주요 평가 대상 기업들은 건설·조선·철강 등 최근 업황이 악화된 취약업종 기업들로 구조조정 대상에도 이들 업종이 상당수 포함됐다. 지난해에는 C등급이 27곳, D등급이 13곳이었다.
채권단 관계자는 "은행권도 충당금 쇼크가 있는 만큼 최대한 많은 기업을 회생 가능성이 있는 워크아웃 쪽으로 유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기촉법에 따라 대기업 구조조정이 본격화하고 있는 가운데 기존에 재무구조개선 약정을 체결하고 선제적 구조조정을 추진해오던 기업들마저 부실 우려가 커지며 시장의 공포가 확산되고 있다.
특히 재무구조 개선이 진행되고 있는 2~3개 그룹도 자율협약 등을 통해 고강도 구조조정이 불가피한 위험권에 노출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기업경영성과 평가기관인 CEO스코어도 이날 국내 대기업그룹 계열사 5곳 중 1곳이 자본이 잠식됐거나 부채비율이 위험 수준인 400%를 넘는 '부실위험 기업'으로 분류했다.
시중은행의 한 여신 담당자는 "동부사태를 전후로 은행들의 여신심사가 보수적으로 변한 것이 사실"이라며 "경기상황까지 좋지 않아 기업들의 자금사정이 하반기 들어 급격히 나빠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금융당국은 최근 동부사태에서 드러났듯이 대기업에 투자한 회사채와 기업어음(CP) 투자자들의 불안도 예상돼 대책 마련에 들어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