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사라졌던 '명성황후 양탄자' 박물관에 있었네
입력2010-05-26 21:22:27
수정
2010.05.26 21:22:27
국립중앙박물관 수장고서 확인 공개
외세의 압박에도 위엄을 자랑하던 명성황후의 접견실에는 표범 48마리의 가죽을 이어붙인, 길이 5.6m, 폭 2.5m의 대형 표피(豹皮) 양탄자가 깔려 있었다. 그러나 명성황후 시해사건, 6ㆍ25전쟁 등을 거치면서 1951년 4월 이 양탄자는 한국에 파병됐던 미군 병사 휴 길트너 손에 단돈 15환(당시 25달러)에 팔려갔다. 너무 커서 개인 소장이 어렵자 길트너 씨가 모피 판매상에게 보관을 의뢰하는 과정에서 양탄자가 미국 언론에 공개됐다.
그러자 한국 뉴욕총영사관은 “이 표범 양탄자는 경복궁 명성황후 궁실에서 도난당한 국보급 보물이니 신속한 반환을 요청한다”는 성명을 발표했다. 길트너 씨는 “서울에서 행상에게 샀다”고 주장했지만 양탄자는 곧 압수당해 한국으로 돌려 보내졌다. 이 내용은 1951년 8월 미국잡지 ‘라이프(LIFE)’에 ‘병장의 기념품’이라는 제하로 10만 달러 가치가 있는 한국 문화재에 대한 일화로 상세히 보도됐다.
그러나 반환했다고 알려진 양탄자의 행방은 묘연했다. 최근 문화재 환수 운동의 일환으로 문화재제자리찾기 사무총장 혜문 스님 등이 지난 18일 ‘명성황후 표범가죽의 소재처 파악’을 위한 국민감사청구서를 감사원에 제출했다.
잃어버린 줄 알았던 유물은 뜻밖에도 국립중앙박물관(관장 최광식) 수장고에 있었다. 박물관은 26일 기자간담회를 열고 “문화재청에서 표피(豹皮) 유물의 존재를 확인하는 공문을 보내와 수장고를 확인한 결과 동일품일 가능성이 있는 유사 유물을 찾았다”며 양탄자를 공개했다. 둘둘 말린 채 수장고에 보관된 표범 카펫에는 ‘덕근 201’이라는 관리번호가 달려있었다. 특히 뒷면의 흰색 오얏꽃(李花) 문양은 황실용임을 뜻하는 표시로, 명성황후의 것일 가능성에 무게를 더했다.
박물관측은 “1969년에 덕수궁미술관이 관리하던 고종황실 유물을 이관받았는데 당시 문화재관리국(현 문화재청) 목록에 ‘호피(虎皮)’로 적혀있어 명성황후와 연결할 근거가 전혀 없었다”는 말로 40년 이상 수장고에 묵혀둔 문화재를 두고 해외 환수운동을 펼치려 했던 어이없는 사건에 대해 해명했다.
그러나 체계적인 유물관리를 하지 못한 국립중앙박물관이나 문화재청의 책임 추궁은 피하기 어려워 보인다. 중앙박물관 수장고에 있는 25만여점 유물의 목록화 작업도 아직 완료되지 못했다.
오늘의 핫토픽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