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4월 총선에서 여소야대를 만들어 노조법과 비정규직, 정리해고 문제를 개선하고, 12월 대선에서 정권을 교체해 연정에 참여하겠습니다.” 야권 통합정당에 참여하고 있는 이용득(사진ㆍ58) 한국노총 위원장은 14일 서울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일본노총처럼 정권교체에 힘을 보태고 장기적으로는 영국 노동당처럼 독자적으로 설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일본노총은 2009년 민주당을 도와 55년만의 자민당 장기집권을 종식한 뒤 위원장은 총리, 사무총장은 관방장관, 정책본부장은 민주당 정책위원장과 상시 대화채널을 가동하고 있다. 참의원(480석)과 중의원(250석)에서 각각 41석과 20석을 (노총출신이) 차지하고 있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그는 총선이후 노조법ㆍ비정규직ㆍ정리해고 문제 개선방향과 관련, “노동이기주의가 아니고 사용자와 윈윈하도록 하겠다”며 “"MB정부 들어 노사정위가 무력화되면서 WEF(세계경제포럼)의 올 상반기 세계 142개국 노사관계 조사에서도 우리나라의 노사협조율이 140위로 나타났는데, 앞으로 노사가 정치의 장에서 문제를 논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노조법의 타임오프(노조전임자의 근로시간면제 한도제)는 외국에서는 노조원 100~300명당 전임자 5~7명을 두도록 하는 등 보호조항이었는데 우리나라에서는 한번 틀어 규제조항으로 만들었다”며 “외환위기 당시 국제통화기금(IMF)가 ‘돈을 빌려줄 테니 고용유연성을 담으라’고 해 한시적으로 하기로 했는데 노동부가 유연화 확대에 나서고 이제는 손대기 어려워질 정도가 됐다”고 지적했다. 야권통합에 참여한 배경과 관련, 그는 “단체로 의사결정기구에 참여해 당론보다 앞서는 강령과 정책 속에 노동가치를 담아야 한다는 취지다”고 밝혔다. 이 위원장은 “내년 1월 야권 통합정당 지도부 경선에 출마하지 않되 지명직 최고위원으로 참여할 생각”이라며 “조직적으로 특정후보를 밀어 당을 장악할 의도가 없다”며 무욕을 강조했다. 한국노총은 회원수가 86만명으로 내년 4월 총선 전까지 2만여명을 당원으로 가입시키고 점차 당원 가입률을 10%까지 높일 계획이다. 한편 금융노조 출신인 이 위원장은 2004년부터 4년간 노총 위원장을 역임한 뒤 다시 지난 2월부터 위원장직을 다시 수행하고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