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송파신도시 국민임대 줄이고 장기전세로 전환 추진 건교부, 서울시 요구수용 조정안 마련 검토임대비중도 당초 50%서 40~45%로 낮춰 김창익 기자 window@sed.co.kr 송파 신도시에 건설되는 전용면적 60㎡ 이하 국민임대주택 수가 1만4,000여가구에서 9,800여가구로 4,000가구 이상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대신 서울시가 공급하는 중대형 장기전세주택(Shift)으로 전환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15일 건설교통부ㆍ서울시ㆍ한국토지공사 등에 따르면 건교부는 송파 신도시 임대주택 조정안으로 이 같은 방안을 검토 중이다. 시행사인 토공의 '송파 신도시 주택건설 계획안'에 따르면 송파 신도시에는 분양주택 2만4,535가구(50%ㆍ단독주택 4,680가구 포함), 임대주택 2만4,465가구(50%) 등 총 4만9,000가구가 건립된다. 지난 2005년 12월 송파 신도시 건설계획 발표 당시 총 4만6,000가구 중 48%인 2만2,100가구는 분양주택으로, 52%인 2만3,900가구는 임대주택으로 공급할 방침이었으나 강남 대체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주택 수를 3,000가구 늘려 잡은 것이다. 건교부는 서울시의 조건부 반대 입장에도 불구, 내년 9월 첫 분양에 들어가는 등 송파 신도시 공급계획을 당초 일정대로 추진하기로 하는 대신 서울시의 임대주택 조정 요구를 수용해 소형 임대주택을 중대형으로 전환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또 임대주택 비율을 50%에서 40~45%로 하향 조정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임대주택 규모별 공급계획 조정은 60㎡ 이하 국민임대주택을 당초 계획했던 1만4,149가구(전체 가구 수의 29%)에서 9,800여가구(20%)로 4,349가구를 줄이는 방안이 유력하다. 건교부ㆍ서울시ㆍ송파구 등 복수의 관계자는 "강남 대체 신도시로서의 역할에 걸맞게 임대주택 조정안을 마련하고 있다"며 "60㎡ 이하 소형 임대주택을 10%포인트가량 줄이고 그만큼 85㎡ 이상 중대형 임대주택, 특히 중대형 장기전세주택 수를 늘리는 방안을 협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장기전세주택의 경우 주변 전세시세의 80%로 최장 20년간 안정적인 주거가 가능해 사실상 그만큼 분양주택을 늘리는 효과가 있다는 것이다. 임대주택 전체 비율은 50%에서 43% 안팎으로 하향 조정된다. 송파 신도시 전체 부지면적 676만㎡ 중 86%가 그린벨트(집단취락지 포함)로 이 중 50%, 즉 43%로 임대주택 비율을 맞춰도 '그린벨트 해제지역의 경우 50%를 임대주택으로 짓도록 한' 현행 규정에 위배되지 않는다는 논리다. 이럴 경우 분양주택은 55~60%로 최대 2만9,400가구로 늘게 된다. 건교부는 이달 중 중앙도시계획위원회 분과위원회 심의와 본회의 통과를 모두 마치고 다음달 중 개발계획을 마련하고 6월 중 실시계획을 확정할 계획이다. 입력시간 : 2008/01/15 17:14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