핀란드는 지난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1.2% 감소한 데 이어 올해 1·4분기에도 0.4% 감소했다. 더구나 유럽연합(EU)·미국 등 서방권에 대한 러시아의 농산물 금수 조치로 핀란드가 가장 큰 타격을 입을 것으로 블룸버그는 보고 있다. 핀란드는 러시아 제재에 가장 미온적인 EU 국가인데도 최대의 피해를 본 셈이다. 러시아는 독일, 스웨덴에 이어 3위 교역국이다. 핀란드는 수출의 10%, 수입의 18%를 러시아에 의존하고 있다.
핀란드산업연합회의 카이 미카넨은 "러시아 수입 금지가 1년간 지속되면 대 러시아 수출이 5% 줄면서 재앙 수준은 아니더라도 큰 어려움에 빠질 것"이라고 말했다. 문제는 노키아의 휴대폰 사업이나 기존의 핵심 산업인 목재·펄프 산업이 부진한 최악의 시기에 러시아와 서방권 갈등이 증폭되고 있다는 점이다.
경제 타격이 불가피해지면서 경기 침체 우려도 커지고 있다. 노르디아은행의 파시 소르조넨 이코노미스트는 "핀란드 경제가 더블 딥에 빠지면서 GDP가 2008년 수준으로 돌아가려면 10년은 걸릴 것"이라고 우려했다. 39개 기업으로 구성된 MSCI핀란드인덱스펀드 지수는 최근 한달 간 3.4% 하락했다.
이 때문에 우크라이나 사태에서 전통적 외교적 가치인 중립을 유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고개를 들고 있다. 핀란드 의회 소속 국제관계협회의 테이자 티일리카이넨 이사는 "핀란드는 러시아와 EU 국가 전체를 합친 것보다 더 많은 국경을 접하고 있다"며 "큰 이웃을 무시할 수 없다"고 말했다. 핀란드의 한 유력신문은 "핀란드가 위기에서 벗어나려면 유로존을 탈퇴해 과거 자국 통화인 마르카 시절로 돌아가야 한다"고 스웨덴 경제학자의 충고를 싣기도 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