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국 민간 어린이집이 보육료 현실화를 주장하며 27일부터 일주일간 집단 휴원에 돌입하기로 했지만 실제로 휴원을 단행한 어린이집이 많지 않아 큰 파장은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한국어린이집총연합회 측은 29일에는 당직교사 등까지 모두 손을 놓는 전면 휴업을 실시하겠다고 예고해 긴장은 아직 해소되지 않고 있다.
27일 보건복지부 및 지역 민간 어린이집에 따르면 대전ㆍ광주ㆍ충남ㆍ충북ㆍ전북ㆍ제주 등 6개 지역이 휴원에 동참하지 않은 가운데 서울ㆍ경기ㆍ인천 등 수도권지역도 실제 휴원한 사례는 극히 적었던 것으로 조사됐다.
복지부는 "서울ㆍ인천ㆍ경기지역 민간 어린이집 796개소를 조사한 결과 81.5%의 어린이집은 평상시와 동일하게 운영했으며 12.8%는 당직교사를 배치하는 등 94.3%의 어린이집이 불편 없이 운영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차량 운행을 중단한다거나 당직교사 1인만이 운영을 한다는 식으로 운영하는 경우는 있었지만 전면 휴업에 돌입한 어린이집은 거의 없었다. 서초 반포어린이집의 한 관계자는 "휴업에 참여하는 입장이지만 아이들을 데리고 나오는 부모들을 거절할 수는 없었다"고 말했다. 서울 관악구 새동원어린이집의 한 관계자는 "휴업에 참여하지 않고 정상 수업을 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한국어린이집총연합회 측은 29일 전면 휴업을 하겠다고 예고한 상태라 민간 어린이집 휴업 사태는 당분간 지속될 가능성이 커 보인다.
박천영 한국어린이집총연합 민간어린이집분과위원장은 "전국 80~90%의 민간 어린이집이 이번 휴업에 동의하고 있으며 29일 전면 휴업을 준비 중"이라며 "주장이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 어린이집 허가증 반납을 전제로 한 휴업도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민간어린이집분과위는 "정부는 무상보육을 말하고 있지만 실제 현실에 맞지 않는 보육료를 지원함으로써 어린이집과 부모의 갈등을 심화시키고 있다"며 "특활비 등 실제 필요비용을 다 고려한 보육료를 책정해 지급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반면 복지부는 "민간 어린이집이 부모와 어린이를 볼모로 집단행동을 하고 있어 유감"이라며 "부적절한 운영을 하는 사례에 대해 엄정하게 책임을 물을 계획"이라고 단호한 입장을 비쳤다.
민간어린이집분과위 소속 어린이집은 전국 1만5,000여개에 이르며 이들이 돌보는 어린이는 75만명에 달한다. 일부 어린이집이 실제로 이날부터 다음달 2일까지 휴원에 들어갈 경우 보건 당국은 '주 6일 평일 12시간 운영 원칙'을 명시한 영유아보육법 시행규칙 24조에 따라 2개월 영업정지 또는 과징금 부과 등의 조치를 할 수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