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이명박 정부 마지막 해인 올해 이를 강하게 밀어붙여야 할 이유는 별로 없다고 본다. 먼저 인수자가 마땅치 않고 시장 상황도 좋지 않다. 김 위원장은 외국 투자자들에게도 동등한 입찰기회를 부여하겠다고 밝혔지만 실제 이들이 인수할 가능성은 높지 않다. 우선 외국 금융회사들의 사정이 좋지 않다. 글로벌 금융위기의 충격에서 벗어나지 못한 가운데 유럽 재정위기가 다시 확산되고 장기화될 조짐을 보이면서 타격을 받고 있다. 사실 이보다도 더 큰 변수는 외국계에 대한 국내의 강한 거부감이다. 론스타 사태 등에 따라 '외국계는 단물만 빼먹고 빠져나가는 먹튀'라는 인식이 일반화돼 있다.
국내 시장 상황도 좋지 않다. 민영화 목적 중 하나가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인데 금융회사들의 주가가 저평가됐다는 것이 일반적인 평가다. 국내의 인수여력도 문제다. 외국계가 아니면 국내에서 원매자가 나와야 하는데 마땅치 않다. KB금융지주에서 인수가 아니라 합병 방식으로 추진한다는 얘기도 나온다. 하지만 이럴 경우 합병 후 회사의 대주주가 여전히 정부가 된다. 인수가 아니라 합병 방식이기 때문에 정부가 받을 수 있는 돈도 많지 않다. 이게 무슨 민영화냐는 얘기가 나올 수 있다.
산업은행 민영화도 그렇다. 최근 산업은행 기업공개를 강력히 추진하고 있는 강만수 산은금융지주 회장은 "기업공개와 민영화는 별개"라고 했지만 기업공개는 민영화를 전제로 한다. 산업은행 민영화에 대해서는 논란이 더 많다. 꼭 정권 말인 지금 시작해야 할 이유는 없다.
김 위원장은 자타가 공인하는 '일벌레'다. 정권 말까지 열심히 최선을 다하는 모습은 보기 좋지만 시간에 쫓기듯이 할 필요까지는 없다고 본다. 목표에 지나치게 집착하면 졸속으로 흐를 수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