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청소년인 10대에서 메르스 발병 환자가 나오고 중고교에서도 휴업이 늘어나는 급박한 상황에서 휴업 조치를 내리는 것밖에 할 수 있는 게 없다는 목소리가 교육 당국 내부에서 나오고 있다.
교육 당국의 사실상 ‘휴업’ 상태는 방역 당국이 보유한 정보가 교육부나 교육청등과 공유되지 못하기 있기 때문이다. 전날 정부에서 메르스 확진 환자가 발병·경유한 병원을 공개하고 지자체·민간·군·학교가 참여하는 총력대응체계를 강화하기로 했지만 달라진 것은 그다지 없다는 분석이다. 일례로 교육부는 7일 메르스 확진 판정을 받은 10대 고등학생이 재학 중인 학교조차 파악하지 못해 휴업 조치 등 조치를 내리지 못해 혼란을 키웠다.
교육부 등에 따르면 메르스 의심 환자가 발생할 경우 보건 당국이 환자 본인에게 통보를 하면 해당 환자가 학생이나 교직원인 경우 소속 학교에 통보하도록 돼 있다. 각 학교에서는 이 사실을 각 지역교육지원청을 통해 교육청에 통보하면 교육부도 같은 경로로 전국 17개 시·도 교육청의 상황을 취합한다. 하지만 휴업 학교가 늘어나면서 이러한 체계도 취약점을 드러내고 있다. 휴업을 한 상태에서 격리 대상자나 확진 환자가 나와도 학교에 보고가 되지 않으면 교육부도 알지 못하는 셈이다. 서울 교육청 관계자는 “아직도 보건당국에서 교육청으로 정보가 오는 경로가 없다”며 “휴업 중이더라도 본인이 학교에 신고할 수 있도록 각 학교에 충분히 고지를 하고 있다. 그 외에는 강제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고 설명했다. 그는 “서울시에 직원을 한 명 파견해 그나마 정보를 받고 있다”고 덧붙였다.
학부모들도 스스로 대책 마련을 위해 팔을 걷어붙였다. 학부모들은 지역을 중심으로 한 온라인 커뮤니티,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휴업 학교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할 뿐만 아니라 확진 환자가 나오지 않은 지역에서도 각 학교에 휴업 조치를 내려달라고 목소리를 내고 있다. 이날 서울 강남과 경기 남부 지역이 일제히 휴업에 들어가자 지역 커뮤니티를 통해 전업 주부들이 맞벌이 가정의 아이를 돌봐주는 모임을 결성하기도 했다. 경기 수원에서 두 아이를 키우는 직장인 황모(38)씨는 “대책없는 휴업조치로 불안했을 때 다른 엄마들과의 정보 공유가 제일 든든했다”며 “아이를 위험으로부터 지키는 일차 단속은 오로지 부모 몫인 듯하다”고 말했다. 한편, 서울 교육청은 9일부터 휴업 학교 명단을 공개하기로 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