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때 3.3㎡당 지분 가격이 최고 8,000만원대에 달하며 '금싸라기땅'으로 불렸던 서울 용산구 일대 뉴타운 예정지 6곳 73만7,000여㎡가 개발행위제한허가 구역에서 해제됐다. 이번에 해제된 6곳은 지난 2008년 18대 총선 당시 국회의원 후보들이 4차 뉴타운 지정을 공약으로 내세웠던 곳으로 5년간 묶였던 개발행위허가 제한이 풀리면서 사실상 뉴타운사업 가능성이 사라졌다.
10일 서울시와 용산구에 따르면 용산구는 서계ㆍ청파ㆍ용문동 및 원효로1~4가 일대 73만 7,699㎡ 일대에 걸린 개발행위허가제한구역 지정안이 최근 연이어 해제했다.
이번에 개발행위허가제한이 풀린 곳은 ▦서계동 224 및 청파1가 121(39만여㎡) ▦청파동3가 121 및 원효로1가 30(18만여㎡) ▦용문동 81 및 원효로2가 1(5만여㎡) ▦원효로 3가 178(4만여㎡) ▦원효로4가 877(5만여㎡) ▦원효로4가 109-4(2만여㎡) 등이다.
용산구 관계자는 "이들 지역은 2007년 4차 뉴타운지구 지정을 둘러싸고 투기 우려가 과열되면서 지분 쪼개기를 막기 위해 제한구역으로 지정된 곳"이라며 "사실상 서울시의 4차뉴타운 지정이 무산됐고 최대 5년간 행위제한기간이 만료돼 이번에 해제됐다"고 설명했다.
기간만료에 의한 해제이지만 부동산 경기침체와 더불어 뉴타운사업의 몰락으로 사실상 투기지역으로서의 위상을 잃어버렸다는 게 부동산 업계의 시각이다.
실제로 원효로4가의 경우 주민들이 단독주택재정비예정구역 지정을 신청했지만 서울시의 심사에서 탈락하며 개발행위허가구역에서 배제됐다.
용산구의 또 다른 관계자는 "원효로4가의 경우 인근 뉴타운 지역과 연계된 광역개발계획수립을 기대했지만 이마저 무산됐다"고 전했다.
지난 18대 총선에서는 서울시내에 출마한 여야 후보자 28명이 지역구내에 대해 '4차 뉴타운 유치'를 무더기로 공약을 내세웠지만 이후 서울시가 뉴타운 추가지정 중단을 선언하면서 곳곳에서 문제를 낳았었다.
개발에 대한 기대감이 사라진데다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 사업까지 지연되면서 이 일대 부동산 가격은 하락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된다.
특히 용산의 대표적인 낙후지역으로 불렸던 원효로ㆍ청파동 일대 일부 상가 밀집지역은 한때 3.3㎡당 8,000만원대에 달하기도 했지만 최근에는 약세를 면치 못하고 있는 분위기다.
이 지역 A공인 관계자는 "뉴타운 지정에 대한 기대감으로 한때 지분값이 크게 뛰었지만 지금은 매수 문의 자체가 없어 시세조차 알기 어렵다"며 "당부간 값이 더 떨어지지 않겠느냐"고 내다봤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