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자동차 부품 수출액이 지난 20년 사이 50배가량 늘어났다. 자동차 부품이 완성차와 함께 국내 수출 효자 품목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것.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과 현대ㆍ기아차를 중심으로 한 완성차 업체의 적극적인 동반 성장 노력이 이 같은 결과를 가져왔다는 평가다.
26일 한국무역협회 품목별 수출입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국산 자동차부품 수출액은 246억달러, 무역흑자는 197억달러를 기록하며 각각 3년 연속 사상 최고액을 경신했다.
수출액은 한국무역협회가 주요 품목별 공식 수출입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1977년 1,100만달러와 비교해 35년 새 2,240배가량 늘었다. 무역수지도 1억1,400만달러 적자에서 흑자로 전환됐다.
자동차 부품의 수출 증가 추세는 1990년대 이후 다른 품목을 압도하고 있다. 이전까지만 해도 국산 자동차 부품 수출 증가율은 완성차의 3분의1 수준에 불과했으나 국내 완성차 업체의 판매 증가, 해외 업체들의 수요 확대 등에 힘입어 수출이 급격히 늘었다.
자동차 부품 수출은 1992년 5억달러를 조금 넘는 수준에서 지난해 246억원으로 20년 새 50배 가까이 급증했다. 같은 기간 주력 수출품인 반도체, 자동차, 선박해양구조물 및 부품, 무선통신기기, 철강판, 합성수지 등의 수출액이 6~34배가량 늘어난 것과 비교하면 자동차부품 수출액 증가율은 더욱 두드러진다.
한국 자동차부품의 급성장에는 국가 차원의 지원이 크게 기여했다. 정부는 2001년 부품ㆍ소재발전 기본계획, 2009년 자동차산업 활성화 방안 등의 정책을 통해 자동차 부품산업 발전에 힘을 쏟았다.
세계 주요 국가와 체결한 자유무역협정(FTA)도 한국산 부품의 글로벌 경쟁력을 끌어올리는 원동력으로 작용했다. 한미, 한ㆍ유럽연합(EU) FTA 체결에 따른 자동차부품 관세 철폐로 한국 자동차부품의 해외 수출이 유리해졌고 미국이나 유럽에서 현지 생산하고 있는 완성차 업체의 비용을 절감시키는 효과를 거뒀다.
현대ㆍ기아차를 위주로 국내 완성차 업체도 한국산 자동차부품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는 데 중추적 역할을 했다.
현대차그룹은 관세와 비관세 장벽 등 통상마찰의 소지를 없애고 현지 소비자들의 요구를 실시간으로 반영한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2000년대 초반부터 본격적인 글로벌 생산거점 확보에 나섰다. 글로벌 생산 포트폴리오를 구축하면서 현대ㆍ기아차는 세계 자동차 시장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완성차 업체로 자리매김했고 한국산 자동차부품이 주목 받는 계기를 마련했다.
정몽구 현대차그룹 회장의 품질 경영도 부품업체들의 질적 향상에 원동력이 됐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현대ㆍ기아차는 부품업체들에 높은 수준의 품질을 요구하는 동시에 품질교육을 지속적으로 시행하며 협력업체의 기술력을 끌어올렸다. 해외 진출시 협력업체와 동반진출을 적극 추진하고 부품 협력업체들이 다른 글로벌 유수 업체로 제품을 납품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 공급처 확대를 통해 협력업체가 수익을 창출하고 이를 토대로 연구개발(R&D) 역량을 키우는 선순환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최근에는 협력업체 지원을 2차 협력사까지 확대하고 협력사가 우수한 인재를 채용할 수 있도록 협력사 채용박람회를 개최하는 등 적극적인 상생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정부의 지원, 완성차 업체의 상생 노력, 부품업체의 자체 경쟁력 강화 등이 더해지면서 한국 자동차부품의 품질 및 가격경쟁력이 글로벌 상위 수준으로 올라선 만큼 세계 주요 업체들의 한국 자동차부품에 대한 수요는 갈수록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