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050년까지 1,000조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는 전 세계 원자력발전소(원전) 해체시장이 새로운 블루오션으로 부상하고 있다. 이에 따라 경북도가 글로벌 원전 해체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해체기술의 국산화에 나서는 등 발 빠른 행보를 보이고 있어 주목된다. 원전 건설에 있어 국내 일부 기술은 이미 글로벌 최고 수준에 올라와 있지만, 수명이 다한 원전을 해체하는 것은 또 다른 차원의 기술이 필요하다.
24일 경북도 등에 따르면 국내의 경우 2012년 11월 설계수명 종료 이후 계속 운전 여부를 심사 중인 경주 월성원전 1호기를 비롯해 국내 원전의 해체가 2020년대 중반부터 집중될 전망이다. 특히 현재 국내에서 상업운전 중인 원전 23기중 절반인 12기의 설계수명이 2030년 내에 끝날 것으로 보여 원전 해체에 대한 대비를 서둘러야 하는 상황이다. 경북지역에는 울진 등 상업용 원전 23기중 11기가 집중돼 있다.
세계적으로도 상업용 원전 440기중 430기가 2050년 설계수명이 종료됨에 따라 해체 대상이 되고, 이에 따른 시장 규모는 1,000조원대에 달할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현재 상업용 원전 해체기술은 미국, 일본, 독일 등 일부 선진국만 갖고 있을 정도로 고도의 기술이 요하는 분야다. 심지어 원전 강국인 프랑스조차 아직 원전 해체 경험이 없을 정도다. 미국과 일본, 독일 등 3개국이 글로벌 원전해체 시장을 거의 독식하고 있는 셈이다.
우리나라는 원전 해체와 방사성 물질을 완전히 제거하는 제염과 관련된 38개 세부기술중 17개만 확보하고 있고 기술력도 선진국 대비 70%에 불과해 추가 기술개발이 시급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국내 원전이 집중돼 있는 경북도는 점점 커지는 원전해체 시장 진입을 위해 발 빠르게 나서고 있다.
24일 경북도는 한전KPS와 원자력 해체 원천기반기술 확보를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이와 동시에 정부가 추진하는 '원자력 해체기술 종합연구센터' 유치 등에 대한 협력도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한전KPS는 한국전력이 전액 출자한 자회사로, 원전과 화력, 수력, 신재생에너지 등 국내 전력과 산업설비를 정비하는 기관이다. 이번 양해각서 체결로 두 기관은 원전 해체에 필요한 핵심기술의 연구개발, 해체 성능검증 시설·장비 등의 기반 구축 등의 협력을 강화할 방침이다.
경북도는 기존 원전 설계(한국전력기술)와 건설·운영(한국수력원자력), 폐기(한국원자력환경공단 및 방폐장) 관련 기관에다 해체기술 종합연구센터 유치로 원자력 산업의 중심지로 도약하겠다는 전략이다.
이인선 경북도 정무부지사는 "원전 해체시장을 선점해 지역의 미래산업으로 육성하는 한편 설계, 건설 및 운영, 폐기, 해체에 이르는 전 주기적 인프라를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