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중앙은행(BOJ)이 최근 엔화가 초강세를 지속함에도 불구하고 추가적인 양적완화 정책 등을 통한 ‘엔고 제한’조치를 취하지 않았다. BOJ는 엔화 강세가 미국 경제 등에 대한 불안감 고조에서 비롯됐다고 판단, 11일 열리는 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의 통화정책 결정을 지켜보기로 한 것으로 관측된다.
BOJ는 10일 이틀간의 금융정책결정회의를 마치고 만장일치로 기존 금융정책을 유지키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국채매입 규모를 현행 1조8,000억엔 수준에서 유지키로 하고 기준금리도 0.1%로 동결했다. 시라카와 마사아키 BOJ 총재는 기자회견에서 “엔고는 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끼칠 수 있는 큰 요인”이라면서도 “일본경제의 회복세는 아직 손상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앞서 노다 요시히코 재무상은 이날 오전 각료회의를 마친 뒤 “정부는 일본은행과 엔고, 디플레이션 등을 함께 해결하기 위해 어느 때보다 가깝게 협력관계를 맺기 원한다”고 말했다.
당초 BOJ는 이번 회의에서 국채 추가매입 등 유동성 공급을 통한 외환시장 개입방침을 밝힐 것이란 관측이 적지 않았다. BOJ는 그러나 최근의 엔고 추세가 달러 약세 등 외부조건에 따른 것임을 감안, 독자적인 유동성 공급조치의 효과가 크지 않다고 결론지은 것으로 관측된다. 씨티그룹의 도케 에이지 수석 투자전략가는 “BOJ가 추가로 양적완화 조치를 취해도 FRB에 의해 묻혀버릴 수 있다”고 말했다.
이 때문에 FRB가 11일 경기부양을 위한 유동성 공급확대 방침을 발표하면 일본은행도 행동에 나설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RBS증권의 니시오카 준코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FRB의 (양적완화 조치) 발표가 엔화 상승폭을 더 키우고 주가 급락도 촉발한다면 BOJ는 긴급회의를 소집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실제 BOJ는 지난해 11월 말 엔화가 84엔대까지 치솟자 12월 1일 임시회의를 소집해 총 10조엔의 자금을 긴급투입하는 유동성 공급조치를 단행한 바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