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교수는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전국적 인물이었던 천 의원이 수도권에서의 도약이 여의치 않고 대선에서의 선택(김두관)도 불발이 되자, 광주로 내려가 호남정치 부활을 주창하는 새로운 전략에 동의하지 않는다”며 천 의원을 겨냥했다. 이어 “김문수 전 경기도지사가 고향 대구로 내려가는 것을 비판하는 것도 같은 맥락”이라며 “중원에서 뜻을 이루지 못하자 촉(삼국지의 촉나라)으로 가서 세를 키워 다시 중원을 도모하겠다는 것이리라 추측한다”고 천 의원과 김 전 지사를 동일하게 평가했다.
조 교수는 특히 내년 총선에서 새정치연합과 이른바 천정배 신당과의 경쟁과 관련, “그 경쟁은 노선과 인물에서 혁신경쟁이어야 할 것”이라며 “과거 민주당과 안철수 신당과의 경쟁이 필요하다고 말했을 때와 같은 맥락”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현명한 천 의원께서 세 불리기를 위해 구시대 인물 이삭줍기를 하진 않으리라 믿는다”고 천정배 신당의 혁신 필요성도 강조했다.
천 의원은 이에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애정 보여주셔서 고맙지만 광주는 중원에서 벗어난 파촉 땅이 아니다. 중원중의 중원이죠”라며 “새로운 세력이 등장해 새정치연합과 경쟁해야 한다는 제 주장에 늦게나마 공감하신 것은 반갑다”고 응수했다.
앞서 조 교수는 전날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가 제안한 완전국민경선제(오픈프라이머리) 도입에 강한 반대 의사를 드러내는 등 여당에게도 비판의 목소리를 내놓았다.
그는 전날 기자들과의 오찬에서 “김 대표가 도입을 제안한 오픈프라이머리는 ‘내년 총선 공천권을 줄 테니 대권은 나와 함께 가자’는 선언”이라며 “하지만 이는 우리 현실에서 적절치 않다고 판단된다. (이렇게 하면)새누리당 현역 의원 교체가 하나도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김 대표 주장의 속내를 파고들었다.
이어 “김 대표가 제안한 오픈 프라이머리는 국민에게 공천권을 주는 게 아니라 실제 결과는 100% 현역에게 재공천을 보장하는 것”이라며 “새누리당 현역 의원 교체는 하나도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한 바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