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론 고령사회와 노인빈곤 문제가 수많은 논의를 거쳐온 현안이지만 해외 언론까지 주목하고 있다는 사실은 적지 않은 의미를 갖는다. 한국 사회의 강점으로 여겨졌던 전통적 가치가 무너지고 있다는 사실을 세계인들이 깊게 인식하기 시작했다는 점이 무엇보다 불길하다. 영국의 역사학자 아널드 토인비는 1973년 런던을 방문한 한국 정치인에게 '한국의 효도사상은 인류에게 가장 훌륭한 사상이니 영원히 보존할 뿐 아니라 서구에서도 캠페인을 벌여야 한다'고 말했었다. 그는 "만약 지구가 멸망하고 인류가 새로운 별로 이주해야 한다면 꼭 가져가야 할 제1의 문화가 한국의 효 문화"라고 말했다고 한다.
효도사상은 한국 경제의 성장에도 결정적인 영향을 끼쳐왔다. 자원도 자본도 없이 사람만 많았던 가난한 나라가 성장가도를 달릴 수 있었던 바탕에는 자식을 위해 전력을 다하는 교육투자와 성공한 자녀가 부모를 봉양하는 전통이 깔려 있다. 비단 경제뿐이 아니다. 흉악범죄를 비롯해 나만 잘살면 그만이라는 이기주의와 온갖 사회적 병리현상까지 '만행의 근본'이라는 효 사상의 붕괴와 관련이 깊다. 해외 언론이 한국 사회의 문제점을 정확하게 봤다면 우리의 발전 가능성도 낮게 볼 수밖에 없다. 경제를 위해서라도 무너진 가치관의 회복이 시급하다. 관련예산부터 증액해 효행을 적극 장려할 필요가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