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가 취임 1주년(14일)을 기점으로 '2기 체제'를 본격 출범시킨다. 유승민 전 원내대표의 후임으로는 원유철 전 정책위의장을 경선 없이 합의 추대할 방침이며 신임 원내지도부 선출에 맞춰 당직자 구성도 마무리할 계획이다. 탕평 인사로 흐트러진 당의 중심을 잡고 내년 총선을 승리로 이끌기 위한 시동을 거는 것이다.
12일 새누리당 차기 원내대표 후보로 유 전 원내대표의 러닝메이트였고 정책위의장을 지낸 원유철 의원이 등록했다. 새누리당은 14일 신임 원내대표를 선출하는 의원총회를 열어 원 의원을 단일 후보로 합의 추대할 것으로 보인다.
원 의원은 비박근혜계로 분류되지만 비교적 계파색이 옅어 친박근혜계로부터도 무난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유 전 원내대표 사퇴로 본인의 의사와 관계없이 정책위의장 자리에서 물러났다는 동정론과 함께 직전 원내지도부로 연속성을 유지할 수 있는 점도 당내에서 감안한 것으로 보인다.
원 의원과 파트너를 이룰 정책위의장 후보는 비박계의 3선인 김정훈(부산 남구갑) 의원으로 정해졌다. 김 의원이 정책위의장 후보로 낙점 받기까지는 김 대표의 의사가 강하게 반영됐다는 후문이다.
당내에서 큰 거부감이 없는 만큼 두 후보가 무난하게 새 원내지도부를 맡을 것으로 전망된다.
원 의원은 "내가 수도권 출신 원내대표 후보인 만큼 정책위의장은 영남권에서 맡는 게 좋겠다는 의원들이 많았다"면서 "앞으로 당청 간의 원활한 소통 협력을 통해 박근혜 정부의 개혁 과제를 힘있게 추진하는 데 추진력이 있고 금융과 경제 쪽에서 일했던 정무위원장 출신이자 육사 출신인 김 의원이 적임자라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신임 원내지도부 구성과 주요 당직 개편도 완료할 방침이다. 13일 최고위원회에서의 최종 협의를 거친 뒤 14일을 전후해 발표될 것으로 전망된다.
내년 총선 공천 실무를 책임질 신임 사무총장에는 친박계 3선의 황진하(경기 파주을) 의원이 유력하다. 친박계로 분류되지만 계파색이 강하지 않고 내년 총선 승리를 위해 '수도권 사무총장'이 필요하다는 당내 여론이 반영된 결과라는 분석이다.
공천 실무를 보좌하는 제1사무부총장에는 비박계 재선의 홍문표(충남 홍성·예산) 의원이 유력하게 거론된다. 제2사무부총장은 김 대표가 '친박계 좌장'인 서청원 최고위원과 상의해 수도권 출신 원외 당협위원장을 임명할 것으로 알려졌다.
친박계와 비박계를 고루 아우르는 탕평 인선에 수도권과 충청권 등이 중용된 비영남 인사로 대부분이 채워질 것으로 전망된다. 지지층이 확고한 영남권보다는 수도권과 충청권에 역량을 집중해 내년 총선을 승리로 이끌겠다는 의지가 강하게 작용한 것으로 평가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