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청장 박현출)은 15일 돼지 유전체 해독을 위한 국제 컨소시엄에 한국 측 대표로 참여해 국제 공동연구에 참여한 연구진들과 함께 돼지의 유전체를 완전 해독했다고 발표했다. 이 같은 연구결과는 '돼지 유전체 해독을 통한 돼지의 집단통계학과 진화 해석 가능'이란 제목으로 네이처에 표지논문으로 발표됐다. 이 연구는 지난 2006년부터 시작됐으며 한국을 비롯한 미국ㆍ영국ㆍ프랑스ㆍ덴마크ㆍ네덜란드ㆍ일본ㆍ중국 등 8개 나라에서 국내 연구자 14명을 포함해 모두 132명의 과학자들이 참여했다. 연구진들은 듀록 암컷돼지 한 마리를 대상으로 19개의 염색체에서 모두 28억 염기쌍을 해독해 유전체 지도를 완성했다.
돼지 유전체를 해독한 결과 돼지의 원조상은 동남아시아에서 유래됐으며 약 백만 년 전에 유럽과 아시아로 나뉘어 독립적으로 진화된 것을 박혀냈다. 돼지의 유전체는 사람과 매우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조직과 장기의 모양을 결정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유전자들이 돼지와 사람, 개가 서로 비슷해 돼지가 바이오장기용 모델동물로서의 가능성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었다.
농진청 국립축산과학원 이경태 연구사는 "국제적으로 기준이 되는 돼지 유전체 지도가 완성돼 앞으로 가축 육종 분야의 획기적인 발전과 더불어 인간 질병의 해법을 찾을 수 있는 새로운 전기가 마련됐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