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아베노믹스로 촉발된 글로벌 환율전쟁의 해법을 논의할 주요20개국(G20) 재무장관ㆍ중앙은행총재회의가 이틀 일정으로 15일(현지시간)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개막됐다.
이번 회의에서 주요7개국(G7)들은 미국ㆍ일본 등 선진국의 양적완화로 폭발 직전인 신흥국의 불만을 잠재우는 데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통화가치 고평가에 따른 수출 경쟁력 하락, 자산버블 심화 등 각종 후유증에 시달리는 신흥국들이 이를 순순히 받아들일 리 없어 이번 G20회의에서 선진국 중심의 G7과 신흥국을 주축으로 한 나머지 G13이 격돌하게 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또 G20 국가들은 경제위기 탈출 해법으로 '긴축 대 부양'이라는 해묵은 논쟁을 재연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날 로이터통신은 "이번 회의의 가장 큰 관심은 국제사회가 (각국의) 외환시장에 개입에 대한 더 구체적인 대처방안을 도출할지 여부"라고 분석했다. 이와 관련해 이번 회의 의장국인 러시아의 안톤 실루아노프 재무장관은 전날 블룸버그TV와의 회견에서 "'시장에 의해 결정되는 환율'을 강조한 G7 공동성명(코뮈니케)에 뜻을 같이한다"며 "이번 G20 공동성명에는 외환시장 개입에 반대하는 더 구체적인 표현을 담을 것"이라고 밝혔다. 실루아노프 장관은 핵심 문제인 엔저에 대한 언급은 피했지만 시장에서는 '과다한 엔저에 쐐기를 박아야 한다'는 뜻으로 해석하고 있다.
반면 선진국의 입장을 대변하는 국제통화기금(IMF)은 이번 회의에서 환율갈등이 전면에 부상하는 사태를 막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게리 라이스 IMF 대변인은 14일 "환율전쟁에 대한 논의는 부풀려진 것"이라며 "환율논란과 관련, 협조를 통해 해결하려는 움직임이 분명히 존재하고 IMF도 이에 동참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라엘 브레이너드 미국 재무부 국제담당 차관도 지난 11일 "미국은 성장촉진과 디플레이션 방지를 지향하는 일본의 노력을 지지한다"고 밝혀 엔화가치 급락을 초래한 아베노믹스에 대한 지지 의사를 나타낸 바 있다.
특히 시라카와 마사아키 일본은행(BOJ) 총재는 14일 G20회의 참석을 위해 도쿄를 떠나기에 앞서 기자들과 만나 "일본경제 안정을 위한 통화정책을 지속적으로 구사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처럼 일본이 엔저기조 유지를 고집하는 가운데 선진국들이 이를 용인하는 모양새를 보이면서 한국ㆍ브라질 등 신흥국들의 반발이 만만찮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관련해 로이터는 "육박전은 아니지만 모스크바에서 환율전쟁이 개막됐고 G20회의는 (선진국인) G6과 일본의 대립이 아니라 G13과 G7의 대결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아울러 "이번 회의가 외환시장 공동개입으로 달러약세로 방향을 틀었던 1985년 플라자합의를 떠오르게 한다"며 회담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환율 문제에 대한 언급이 별도 성명이 아닌 주요 성명서에 담길 것이라고 분석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실누아노프 재무장관도 "G20 국가들이 일본을 비난하는 분위기는 연출되지 않을 것"이라면서도 "최근 BOJ 움직임이 회담의 주요 의제가 될 것이고 회의의 방향도 일본 정부의 태도에 달려 있다"고 말해 일본 측에 성의 있는 태도변화를 촉구했다.
아울러 이번 회의에서는 경기회복을 위해 기존 긴축정책의 속도를 조절하자는 목소리가 커질 가능성이 높다. 이미 미국ㆍ러시아ㆍ프랑스 등 주요국은 G20 국가의 상당수가 경기침체 상황인 점을 감안해 재정적자 축소 등을 담은 2010년 토론토 합의의 수정을 요구하고 있다.
또 장기투자재원 조성방안 중 하나로 연간 약 1조달러 규모에 달하는 신흥국들의 사회간접자본(SOC) 투자 여력을 활용하는 방안도 주요 의제로 거론되고 있다. WSJ는 "도로ㆍ항만ㆍ다리 등 개발도상국에 필요한 SOC 건설을 위한 투자재원을 마련해 장기적인 글로벌 성장으로 연결시키자는 방안이 러시아 주도로 마련되고 있다"고 전했다.
이밖에 독일과 유럽중앙은행(ECB)이 유로존 내 위기국 지원을 위한 신규 대출제한 방안에 대해 새 합의를 시도하고 있으며 거시정책 공조와 각종 국제금융 체제개혁 방안 등 전통적 의제들이 지속적으로 다뤄질 것이라고 주요 외신들이 전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