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발생한 해군 유도탄 고속함 사고는 상식의 범주를 벗어난다. 분주하게 입항절차를 밟고 있는 수병들의 지근거리에서 함포가 오작동으로 발사돼 병사 한 명이 중태에 빠졌다는 게 사실인지 믿기지 않는다. 과연 우리 군에 안전수칙이 있는가 하는 의문이 들 정도다. K-9 자주포의 포탑에 병사가 끼여 즉사한 경우는 어처구니조차 없다. 안전 불감증이 낳은 인재다.
해안경계에 임했던 병사가 실종 8일 만에 익사체로 발견된 육군의 사고는 더욱 문제가 많다. 애초 근무이탈로 사건의 성격을 규정했던 군 당국은 인명의 존엄성과 망자에 대한 예의를 저버렸다. 병력관리의 난맥상도 드러났다. 연천 포병부대에서 근무하던 육군 모부대 소속 관심병사가 모친을 살해하고 달아난 사건과 같은 부대 소속 관심병사의 휴가 도중 자살은 병력관리의 난맥상을 드러낸 것이다.
지난해 말 군이 뼈를 깎는 개혁을 다짐한 지 불과 한 달이 못 돼 이런 일들이 터졌다. 국민적 관심과 분노를 일으킨 총기난사 사건과 가혹행위를 극복한다며 민관군이 머리를 맞대고 마련한 병영문화혁신 대책은 위기를 넘기 위한 요식행위에 불과했다는 말인가.
새해 들어 연이어 발생한 일련의 사건들은 결코 쉽게 넘길 일이 아니다. 군에 대한 애정과 신뢰가 없다면 안보도 흔들릴 수 있기 때문이다. 미래의 역군인 젊은이들이 이런저런 이유로 군에서 생을 마감한다면 사회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엄정한 책임소재 규명만이 재발을 막을 수 있는 방책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