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성화고 육성에 대한 정부 차원의 관심이 높다.
특성화고 졸업생에게 산업기사와 기능사 자격증을 자동으로 부여하는 방안을 단계적으로 시행하고 고졸자 채용 확대도 추진한다. 정부가 이처럼 '취업기능 강화'대책을 마련한 것은 특성화고 학생들이 취업하지 않고 대학으로 진학하는 폐단을 막기 위해서다.
정부로부터 취업기능 강화 예산을 지원 받은 특성화고는 인재 육성을 위해 고급 커리큘럼을 개설하고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해 배출된 졸업생들이 대기업, 공기업 등에 잇따라 취직하자 높은 경쟁률 속에 우수한 신입생들이 입학하는 등 특성화고가 활성화하고 있다.
이처럼 특성화고 취업 확대 정책이 효과를 보고 있지만 정부 지원은 아직 부족한 상황이다. 특히 취업 문제 해결을 위해 다양한 교육기업들이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커리큘럼을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관련 제도가 확충될수록 공교육과 사교육이 상생 협력을 할 수 있는 결과가 나타날 것이다. 교육업체들은 집약된 노하우를 통해 인재 양성 프로그램의 만족도를 높여 효과적으로 공교육을 지원할 수 있다. 사교육 의존을 줄이면서 고급 인력을 키울 수 있다.
고용노동부는 졸업예정자와 졸업자를 대상으로 실전형 인재를 양성해 취업으로 연계시키기 위한 청년고용 재정지원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운영기관으로 선정된 교육업체들은 특화된 취업역량 향상 프로그램을 제공해 특성화고 취업 문제 해결에 동참하고 있다.
정부 지원사업이 증가하면 특성화고의 수요가 많아지고 공교육에 들어가는 콘텐츠도 정교해지고 발전한다. 학생들은 양질의 교육을 받고 긍정적인 형태의 사교육 분야도 활성화되는 1석 2조의 효과가 나타나게 될 것이다.
특성화고는 사회에 바로 투입될 수 있는 명품 인재를 양성하는 것이 교육 취지인 만큼 정부가 이를 각인하고 교육 프로그램의 가치를 높이는 데 힘써야 할 것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