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 단체는 유럽발 재정위기의 확산과 글로벌 경기침체의 영향으로 올 상반기 자동차 내수가 위축(전년 대비 6.0% 감소)되고 BMW와 푸조 등 유럽 자동차업계는 휴가반납, 대규모 인원 감원 등으로 위기극복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반면 국내 자동차노조는 대화를 거부하고 금속노조의 지침에 의한 정치파업에 참여키로 한 것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명했다.
자동차산업은 최근의 안정된 노사관계를 바탕으로 품질과 기술력이 향상돼 국제적 신인도가 높아져 완성차 뿐만 아니라 부품 수출이 크게 확대되는 등 해외시장에서 인지도가 크게 향상되고 있는 상황이다. KAMA 관계자는 “이런 가운데 파업으로 인한 생산차질은 우리 자동차가 세계시장에서 한단계 더 도약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를 놓치게 할 수 있다”며 “특히 중소 부품업체는 생산중단, 재고부담 등으로 경영에 큰 타격을 받을 것이 우려된다”고 밝혔다.
KAMA는 우리 자동차산업이 현 경제위기를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노사가 합심해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최선이며, 노조에서 정치파업 계획을 철회하고 대화와 타협을 통해 올 임단협을 무파업으로 조기에 타결할 것을 호소했다. 아울러 금속노조의 정치파업에 대해 정부는 엄정한 법과 원칙을 적용할 것을 요구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