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이런 취지에는 공감한다. 그러나 충분한 논의가 우선돼야 한다. TV홈쇼핑은 소비재 등을 만드는 중소ㆍ벤처기업에 매력적인 매출확대 수단임이 분명하다. 그러다 보니 중소기업유통센터가 일차로 추천한 제품이라도 4% 정도만 방송을 탈 수 있을 정도로 문이 좁다. 매출의 30%에 이르는 수수료 부담도 자체 TV홈쇼핑을 갖고 싶은 배경일 게다.
아무리 그래도 설득력이 부족하다. 6개 TV홈쇼핑의 중소기업 제품 의무편성 비율이 50%(중소기업중앙회가 최대주주인 홈앤쇼핑은 80%)를 넘는 마당 아닌가. 제7의 홈쇼핑 설립보다는 기존 의무편성 제도를 보완해 실효성을 높이는 게 먼저다.
홈쇼핑을 신설해야 한다면 전제가 있다. 수익 추구가 우선인 기존의 홈쇼핑사를 하나 더 늘리는 방식이어선 안 된다는 것이다. 중기제품 판로확충을 내세워 설립된 홈앤쇼핑도 중기제품 편성비중이 2012년 83.6%에서 지난해 80.9%로 떨어졌다. 수익증대에 도움이 되는 대기업ㆍ수입제품이 그 자리를 꿰찼다.
시행착오를 되풀이하지 않으려면 공공성이 강하고 100% 국산 중소ㆍ벤처기업 제품만 판매하는 홈쇼핑 외엔 명분이 없다. 그래야 특혜 시비를 잠재우고 일자리와 창업을 늘리는 데 필요하다는 사회적 공감대를 얻을 수 있다. 기존 방식을 되풀이하면 케이블TV 등 유료방송에서 황금채널을 부여받기 위한 송출수수료 경쟁만 부추겨 중소기업과 소비자의 부담을 키울 뿐이다. 특혜에 기대려는 벤처는 벤처가 아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