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의 기적을 이룬 나라, 세계 13위의 경제 대국, 정보통신기술(ICT) 강국,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이자 주요20개국(G20) 회원국….
우리가 흔히 우리나라를 일컬을 때 쓰는 표현들이다. 국제통화기금(IMF) 외환 위기를 슬기롭게 극복한 나라, 88올림픽과 2002한일월드컵을 성공리에 개최한 나라로서 저력 있는 국가라고 소개하는 경우도 많다.
모두 사실이다. 그렇다면 과연 외국에서도 우리나라가 이룬 업적을 알고 우리나라를 세계적인 선진국 대열에 들어선 살아 움직이는 국가로 생각하고 있을까.
세계적 브랜드 컨설팅 회사인 '퓨처브랜드'는 매년 세계인들이 각 국가를 바라보는 '국가 브랜드 지수'를 발표한다. 각국의 브랜드 가치를 가치 시스템, 삶의 질, 비즈니스 환경, 유산과 문화, 그리고 관광 등으로 범주를 나눠 평가했다. 안타깝게도 지난해 발표한 '2012~2013 국가 브랜드 지수'에서 우리나라는 118개국 가운데 49위에 머물렀다. 2011년 42위에서 7단계나 하락한 평가다.
그렇다면 국가 브랜드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은 뭘까. 그에 대한 해답으로 우리의 경쟁력인 ICT를 꼽고자 한다.
먼저 한 국가의 가치 시스템은 정치적 자유, 안정적인 법적 환경, 언론 자유, 국민과 정부의 신뢰성 등이 중요한 평가 요소다. 현 정부는 '정부 3.0'을 통해 국민과 정부와의 소통 채널을 확대하고 이를 기반으로 상호 신뢰성을 구축하기 위해 애쓰는 중이다. 성공적인 정부 3.0의 시행을 위해서 반드시 기반이 돼야 하는 것이 바로 ICT, 그중에서도 개방적 네트워크가 중요하다. 이는 소통의 통로를 넓힘으로써 국민이 정부를 신뢰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해준다.
다음 평가 항목인 삶의 질은 교육 시스템, 의료 시스템, 고용 기회, 안전, 살기 좋은 곳, 생활 수준 등으로 나눠진다.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선 ICT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복지 사각지대를 없애고 맞춤형 복지사회를 구현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또 현재 개발 중인 센서 기반 ICT와 융합 기술은 자연재해, 인위적 재해, 사회적 위협으로부터 국민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자국민뿐만 아니라 해외 투자자들이 안심하고 투자할 수 있는 매력적인 비즈니스 환경 조성도 중요하다. 미국 정부는 구글 앱스나 관공서 정보 검색 서비스, 마이크로소프트의 애저(azure) 등 민간 서비스와의 협업을 통해 정보 자원 효율화와 시민 활용성을 높였다. 우리나라도 ICT를 매개로 공공부문과 민간의 협업 시스템을 잘 구축하면 사업 환경이 한결 좋아질 것이다.
문화유산을 보존하고 세계에 널리 알리는 것 역시 국가 브랜드를 높이는 데 중요한 요소다.
정부는 최신 ICT와 문화관광 서비스를 접목한 '증강현실 기반 스마트 문화유산 관광 서비스'를 경복궁에 구축하고 최근 개통했다. 훼손돼 현존하지 않는 건물까지도 3차원(3D)으로 재현해 자랑스러운 문화유산을 세계에 알릴 수 있는 도구가 됐다. 이처럼 ICT 발전은 관광 서비스 산업과 관련 산업 구조에도 커다란 파급 효과를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ICT와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서비스는 관광지나 문화상품 등과 관련된 정보 제공을 넘어 관광객이 선호하는 맞춤형 서비스도 제공할 수 있다.
국가 브랜드는 하루아침에 올라가지 않는다. 그러나 우리의 강점을 극대화하면 국가 브랜드는 반드시 올라간다. 그 중심에서 ICT가 큰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기대한다. ICT 요소 기술은 정부정책과 잘 더해지면 국격을 높이는 견인차가 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