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M, 포드, 크라이슬러. '자동차 왕국' 미국의 자존심으로 불린 이들 빅3가 생존을 위해 마지막 승부수를 던졌다. 판매 부진과 자금난으로 파산의 위기에 몰리자 인수ㆍ합병(M&A)과 몸집 줄이기에 사활을 건 것. 12일 뉴욕타임스(NYT) 등 외신에 따르면 최근 금융시장이 요동을 치고 있어 제너럴모터스(GM)과 크라이슬러를 소유한 서버러스의 합병논의는 교착상태에 빠져들었다. 금융시장이 안정을 되찾게 되면 지분을 정리한 필요성이 있는 GM과 서버러스가 협상을 재개할 것으로 전망된다. GM의 대변인은 이에 대해 "다른 자동차 업체와 공통의 관심사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면서도 구체적인 언급은 하지 않았다. 외신들은 양 사의 합병 가능성을 50 대 50 정도로 전망한다. 서버러스캐피탈이 크라이슬러의 지분 80.1%를 넘겨주는 대신 GMAC파이낸셜의 잔여 지분 49%를 넘겨받는 식으로 정리한다는 것이다. 문제는 막대한 자금. 콘웨이&매킨지의 M&A전문가인 밴 콘웨이는 "합병 협상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GM이 최소 수십억 달러의 비용을 조달하거나 절감해야 한다"고 말했다. 애널리스트들은 GM이 긴급 자금을 구하기 위해 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에 손을 벌릴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아르거스 리서치의 케빈 타이넌은 "현 상황에서 양 사의 합병은 난센스"라면서 "미국 정부의 개입등과 같은 외부 모멘텀이 아니라면 자체적으로 합병이 성사되기는 힘들다"고 말했다. 합병이 이뤄질 경우 GM은 일본 도요타자동차와의 경쟁에서 확실한 우위를 차지하는 계기를 마련하게 된다. GM은 인력과 공장, 판매망 등에서 최대 100억 달러의 비용 절감이 이뤄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그 동안 GM과 크라이슬러는 하이브리드 엔진공장을 합작으로 설립하고 용접공장을 운영하는 등 협력해 왔다. 하지만 갈 길은 여전히 멀다. 자동차 애널리스트인 에릭 머킬은 양 사는 "시장점유율과 이익이 줄고 있는 두 개 회사를 합칠 경우 시장점유율과 이익감소가 더 빠른 속도로 진행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과정에서 미국 자동차 산업은 엄청난 고통을 겪을 것이란 전망이다. '빅3'가 '빅2'체제로 바뀌면서 미 자동차산업의 규모가 결국 축소될 것이고 19만명에 달하는 근로자들에게도 고통이 뒤따를 것으로 보인다. GM이 합병 협상과 별도로 내주 초 감산과 공장 폐쇄 조치를 발표할 것으로 보인다는 전망도 나왔다. 앞서 GM은 지난 6월 픽업 트럭과 스포츠 유틸리티 차량(SUV) 공장 4곳을 폐쇄한 것과 관련해 엔진, 변속기 등 부품 생산을 줄일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 최대의 자동차업체인 제너럴모터스(GM)의 위기는 미국 자동차 산업이 처한 현주소를 말해준다. 올해로 설립 100년을 맞은 GM은 한 때 미국 자동차 시장의 50%를 차지하는 등 넘보기 힘든 산이었다. 하지만 도요타자동차 등 일본 자동차업체의 공세에 밀리며 시장 점유율이 20%대로 추락했고 지난해에는 일본 도요타자동차와 공동 1위를 기록하며 체면을 구겼다. 금융 위기는 미국 자동차 산업에 치명상을 입혔다. 지난 9월에는 미국에서 판매된 자동차 는 96만대로, 1993년 이후 15년 만에 처음 100만대 밑으로 떨어졌다. GM은 16%, 크라이슬러는 33%씩 판매가 줄었었다. GM의 점유율은 올해 22%로 떨어졌고 크라이슬러의 점유율은 11%에 그치고 있다. 자금난도 심화되고 있다. GM은 매달 10억 달러의 현금을 까먹고 있다. 수익 감소가 지금과 같은 추세로 이어진다면 향후 몇 달 내에 보유 현금이 최소운영자금인 140억 달러 수준으로 줄어들 것이란 전망도 나오고 있다. 이런 고전 속에 GM의 주가는 하락을 거듭하며 1950년대 수준으로 추락했다. 10일 종가는 4.89달러로 52주 최고치인 43.20달러의 10분의 1수준에 불과하다. 크라이슬러는 올해 판매 감소폭이 25%에 달해 주요 자동차 업체 중 최악을 기록중이다. 또 지난해 16억 달러의 손실을 기록했고 올 1분기에도 5억 달러 이상의 손실을 입은 것으로 분석된다. 결국 국제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푸어스(S&P)가 빅3가 글로벌 금융위기 심화에 따른 미국 자동차 판매 감소로 파산 위험에 직면했다고 경고했다. 로버트 슐츠 S&P 애널리스트는 "거시경제 상황이 턴어라운드에 목을 메고 있는 자동차 제조업체들을 압도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포드의 최고경영자(CEO)인 앨런 머렐리는 "파산신청은 전혀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일축하면서 "우리는 현금을 관리하고 회사를 적절한 크기로 운영하는데 최선을 다할 뿐"이라고 말했다.
상하이GM등 연 판매목표 낮추고 일제히 감산 돌입 한국 업체는 '선전' 중국 자동차시장도 글로벌 경제위기의 여파로 '빙하기'에 접어 들고 있다. 상하이GM, 창안포드 등 주요 자동차 메이커들이 일제히 감산체제에 돌입했다. 12일 현지 업계에 따르면 최근 이치도요타는 연간 판매목표치를 당초 42만대에서 39만대로 3만대 가량 축소했고, 상하이GM은 37만8,000대에서 32만대로, 창안포드는 31만대에서 26만대로 목표치를 각각 하향 조정했다. 또한 베이징현대차와 둥펑위에다기아는 연간 판매 목표치를 38만대에서 32만대로, 20만대에서 16만대로 각각 수정했다. 또 중국 토종기업인 치루이자동차도 판매계획을 30만대에서 25만대로 낮춰 잡았다. 이는 중국의 자동차 시장이 올들어 1월의 남부지방의 폭설과 5월의 쓰촨성 대지진 등 잇단 자연재해와 올림픽 기간중의 엄격한 물류통제에다 글로벌 경기침체가 겹치면서 판매량이 예년의 절반 수준인 10%이하로 뚝 떨어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데 따른 것이다. 업계에 따르면 중국 자동차시장은 올들어 1~9월 승용차 수요가 전년 동기에 비해 7.5% 성장에 그쳤으며, 특히 최근에는 경기불안 요인의 증대로 소비심리가 급격하게 위축돼 지난 8월과 9월 승용차 판매실적이 각각 -7.8%과 -12.5%로 두 달 연속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다. 치열한 판매 경쟁이 예상되고 있는 가운데 다행히 한국 업체들은 크게 선전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됐다. 자동차전문 사이트인 선전자동차대세계망에 따르면 베이징현대는 중국형 아반떼인 '위에둥'의 성공적인 출시에 힘입어 올해 1~8월 누적판매량이 20만대로 전년 동기 대비 35.3%나 급성장했다. 둥펑위에다기아도 스포티지가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부문에서 인기차종으로 떠오르는 등의 효과로 올해 8개월간 판매량이 9만5,000대로 지난해에 비해 48.8%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이는 같은 기간 58%의 판매성장률을 달성한 이치도요타에 이어 2위에 해당한다. |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