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민족을 억압하는 민족은 그 스스로도 억압을 받는다'는 말이 있다. 근대 일본에 그대로 들어맞는 표현이다. 메이지유신과 입헌운동으로 이어지면서 20세기 초기 일본의 민주주의는 상당히 성숙한 단계에 올라선다. 하지만 파멸의 씨앗이 자라고 있었다. '국익'을 명분으로 해외 팽창에 나서면서 점차 파시즘이 대두하기 시작했다. 조선을 병합한 1910년 조선총독 개인에게 부여된 권한은 엄청난 것이었다. 입법·사법·행정을 모두 지배할 뿐만 아니라 조선에 주둔하고 있는 군대도 지휘하고 있었다. 조선 민중에 대한 탄압과 착취에 어느 정도 성공을 거둔다. 그러면서 본토 일본에서도 민주주의 정지와 통제 체제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나왔다. 이는 만주사변·중일전쟁을 거치면서 일본 사회가 군국주의로 이행하는 근거가 됐다. 일제는 조선 지배를 위해 1918년 경복궁 내에 조선총독부 청사를 짓기 시작해 1926년 완공했다. 이 청사는 해방 후에도 정부청사로 쓰이다가 광복 50주년인 1995년 철거됐다. 일부 잔해가 '조선총독부 철거 부재 전시공원'이라는 이름으로 사진처럼 충청남도 천안 독립기념관 경내에 전시돼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